공급: "3기 신도시, LH 공공임대+재개발 인센티브의 시험무대"
제네시스 박은 새 정부 첫 부동산 대책의 방향을 "공급 70~80% 중심"으로 전망했다. 그는 "1·2기는 이미 성숙 단계, 4기는 하지 않겠다는 기조여서 남은 해법은 3기"라며 "LH 개혁과 공공임대 확대, 그리고 재개발·재건축 인센티브 부여가 결합될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서울 및 수도권에선 노원·성남 등 대중적 지역에 인센티브가 상대적으로 많이 갈 수 있다고 예상했다. 다만 목동 재건축은 "고도제한 변수로 난항이지만 임대차 시장 안정을 위해선 풀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수요 억제: "대출 더 죌 수 있다… 전·월세 전환 압력"
6·27 대출 규제 이후 시장 유동성 차단 효과가 나타난 만큼, 정부가 LTV 추가 규제나 전세대출 DSR 적용, 임대인에 대한 DSR 관리 등 세부 규제 강화로 갈 수 있다는 관측을 내놨다.그는 "대단지에서도 전세 매물 품귀 현상이 뚜렷해 전세가 상승 압력이 크다"며 "대출이 막히면 반전세·월세 전환이 빨라지고, 임차인은 교육·생활 여건 때문에 이탈이 쉽지 않아 체감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했다.
세금: "올핸 아껴둔 카드… 가을 이후 '행동' 보라"
세법 개정안에서 부동산 세제가 빠진 점을 두고 그는 "대출 규제가 효과를 내면 세금 카드를 늦출 수 있다"고 해석했다. 동시에 종부세 공정시장가액비율(시행령 사항)과 양도세 중과 유예 만료가 최대 변수라고 짚었다.특히 가을(추석 이후) 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 추가 지정이 이뤄질 경우, "내년 중과 '직행' 의지로 읽힌다"고 말했다. 반대로 지방선거 등 정치 일정을 고려해 유예 연장 가능성도 남아 있지만 "연장되더라도 최대 1년 수준일 것"이라고 했다.
투자 셈법: "매도는 올가을, 매수는 내년 1~2월 급매"
그는 예시로 "양도차익 10억 원에 일반 과세면 세금 약 3억이지만, 다주택 중과 시 세금이 7억으로 역전될 수 있다"며 "차액 4억을 감안하면 매도자는 가을에 가격조정해 거래를 성사시키는 게 유리하다"고 했다.반대로 매수자는 "내년 1월 시행령 공포 동향을 확인한 뒤 1~2월 급매물을 노리면 수천만 원 절감 여지가 있다"고 조언했다. (발언 인용)
재건축 vs 재개발: "하이리스크–하이리턴, 초과이익·자금부담 감안"
그는 재건축보다 재개발을 우선 검토하라고 했다. 이유로는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불확실성 △상대적으로 큰 자금 투입을 들었다. 다만 "재개발은 긴 시간·불확실성이 크다"며 동의율 요건 완화 등 제도 변화를 꼼꼼히 확인하라고 했다.
지방 '세컨드 홈' 경고: "세제혜택만 보고 가면 묶인다"
정부가 인구감소지역 중심의 세컨드 홈을 장려하는 흐름에 대해 그는 "현금흐름이 없고 매도도 어려운 지역이면 세제혜택을 체감하기 어렵다"며 신중론을 폈다. "정책 신뢰성·향후 과세 체계 변화 가능성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 제네시스박의 전체 분석과 투자 전략은 유튜브 CBS 경제연구실 <경제적본능>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