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현장을 폭력과 응징의 무대로 묘사한 웹툰 '참교육'이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로 제작되며 논란이 일고 있다. 교사단체와 시민사회는 "체벌 정당화와 인권 침해 우려가 크다"며 제작 중단을 요구하고 나섰다.
23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을 비롯한 62개 교육·시민단체는 서울 종로구 넷플릭스코리아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드라마 '참교육'은 학교 내 폭력과 갈등을 자극적으로 재현하고 있다"며 "교사와 학생을 폭행하는 설정은 교육의 본질을 왜곡하고 민주적 교육가치를 훼손한다"고 비판했다.
동명 원작의 웹툰은 교권 붕괴로 인해 교육부 산하에 '교권보호국'이라는 조직이 신설되고, 소속 공무원이 현장 감독관으로 파견돼 학생이나 교직원에게 체벌을 가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한다는 설정이다.
학교 폭력을 폭력으로 응징한다는 이 같은 내용은 체벌을 근절해온 교육계 흐름과 정면으로 충돌한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해당 웹툰은 북미 지역 웹툰 플랫폼에서 인종차별 표현과 페미니스트 교사에 대한 폭력 장면이 문제가돼 연재가 중단됐다.
전교조 김지연 부위원장은 "웹툰에서 페미니스트 교사를 '사상 세뇌 집단'으로 묘사했고, 인종 차별적 욕설이 반복됐다"며 "이는 콘텐츠가 갖춰야 할 최소한의 윤리 기준조차 무시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기자회견 참석자들은 "교육을 다룬 콘텐츠일수록 사회적 파급력이 큰 만큼, 제작사와 유통사는 더욱 책임 있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며 △드라마 제작 중단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대응 △정부 차원의 콘텐츠 윤리 가이드라인 마련을 촉구했다.
이와 비슷한 사례는 최근에도 있었다. 웹툰 '내가 사랑하는 초등학생'의 드라마화 시도는 교사와 초등학생 간 연애 감정을 소재로 했다는 점에서 '그루밍 성범죄 미화' 논란을 일으켰고, 지난 4일 제작사가 "사회적 우려를 수용해 기획을 중단한다"고 발표하며 논란이 일단락 됐다.
이처럼 교육 콘텐츠를 둘러싼 논란이 반복되면서 업계 내부에서도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웹툰과 영상 제작 업계 한 관계자는 "표현의 자유와 사회적 수용성 사이에서 어디까지 가능하고, 어디서부터 무책임한지 경계가 흐려지고 있다"며 "창작 위축과 콘텐츠 규제 논의가 함께 떠오르고 있어 업계 전체가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최근 웹툰과 영상 제작물 등에서 흥미 위주의 자극적인 콘텐츠 소비가 증가하는 흐름을 무시할 수 없지만, 문화 콘텐츠의 파급력이 큰 만큼 교육과 아동·청소년을 다룰 때는 특히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