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의원이 국민의힘 혁신을 위한 전제 조건으로 "실질적 전권 보장"을 꼽으며 후임자도 전권을 갖기 힘들 것이라는 회의적인 전망을 내놨다.
국민의힘 혁신위원장 수락 닷새만에 사퇴, 당 대표 출마에 나선 안 의원은 9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저한테 전권을 안 주신 것을 보면 그 다음도 받기 힘들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날 국민의힘은 신임 당혁신위원장으로 윤희숙 국민의힘 여의도연구원장을 임명했다.
안 의원은 혁신위원장 사퇴 배경으로 "비대위원장에게 최소한의 인적쇄신에 대한 약속을 받기 위해 주말 동안 만났지만 '곤란하다'는 답변을 받았다"며 "인선합의가 덜 끝난 상황에서 비대위가 발표를 했고, 합의되지 않은 사람도 있었다. 그래서 더 이상 혁신위원장을 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안 의원은 결국 "수동적인 위치보다는 당 대표로 나가서 능동적으로 직접 혁신을 하겠다는 결심을 하게 된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권을 부여 받았는지를 놓고 이견이 나오는 상황과 관련, 안 의원은 "전권이라는 단어를 명시하진 않았다"면서도 "비대위원장이 '최고 수준의 혁신을 하겠다, 뭐 든지 다하겠다'고 직접 말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혁신이라는 것 자체가 전권을 안 가지면 못하기 때문에 혁신위 자체에 전권을 주겠다는 것까지 다 포함이 돼 있다고 생각했다"고 강조했다.
안 의원은 한동훈 전 대표가 전당대회 안 나올 것으로 예상되자 출마를 선언한 것 아니냐는 일부 주장에 대해 "한동훈 전 대표가 이번에 출마해야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우리 당을 어떻게 혁신시킬 것인지 서로 안들을 내고 서로 경쟁을 해서 당원의 선택을 받자"라고 했다. 안 의원은 전날 김문수 전 국민의힘 대통령선거 후보와 한동훈 전 당대표에게 "전당대회에 함께 출마하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안 의원이 인적쇄신 대상으로 지목한 권영세·권성동 의원이 강하게 반발한 것과 관련, "실명을 언급한 적은 없다"면서도 "정치적 책임이 큰 분들이 우선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집단지도체제 부활 가능성과 관련해 "정말 콩가루 집안처럼 돼서 아무것도 협의가 안 된다"며 "현재 우리 당에서 필요한 게 개혁이라고 보면, 어차피 1인 지도 체제가 거기에는 적합하다고 생각한다"고 선을 그었다.
안 의원은 윤석열 전 대통령 시절 만들어진 당원투표 80%에 일반 국민 여론조사 20%(역선택 방지룰 적용) 룰에 대해서는 "책임당원 100%가 뽑게 하는 등, 예전으로 정상화시키는 일이 또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