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측이 12.3 비상계엄 선포 당시 정치인 체포지시를 내리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는 가운데,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이 "싹 다 정리하라는 지시를 받았다"며 이를 부인하는 증언을 거듭 또렷하게 내놓았다.
홍 전 차장은 22일 국회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의 1차 청문회에 출석해 계엄 선포 전후로 윤 대통령, 여 전 사령관과 나눈 통화 내용 등을 설명하며 이같이 말했다.
홍 전 차장 진술에 따르면, 그는 계엄 당일인 지난해 12월 3일 저녁 8시 22분쯤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한두 시간 후에 중요하게 전달할 사항이 있는데 대기하라"는 취지의 지시를 받았다. 이에 홍 전 차장은 곧바로 국정원 청사로 복귀해 집무실에서 대기했고,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TV를 통해 확인했다.
이어 오후 10시 53분쯤 윤 대통령으로부터 전화를 받고 "이번에 다 잡아들여서 싹 다 정리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전했다. 윤 대통령은 또 "국정원의 대공수사권을 줄 테니 이번엔 일단 방첩사를 적극 지원해라. 방첩사에 자금이면 자금, 인원이면 인원을 무조건 지원해"라고 지시했다고 홍 전 차장은 전했다.
그는 '싹 다 잡아들이라'는 지시에 대해 "그때 목적어가 없어서 누구를 그렇게 해야 하는지 몰랐다"라면서 "국내에 장기 암약하던 간첩단 사건을 적발했나 보다, 그래서 긴급하게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이후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과의 통화를 통해 정치인 체포 지시를 정확히 알게 됐다는 취지로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저 대통령 좋아했다. 시키는 거 다 하고 싶었다"며 "근데 그 (체포) 명단을 보니까 그거는 안 되겠더라"라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선 홍 전 차장이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에 정치인 체포 보고를 했느냐를 두고 두고 진실공방을 벌였다. 홍 전 차장은 조 원장에게 정치인 체포 지시를 보고했다고 주장했으나 조 원장은 보고를 받은 바 없다고 반박했다.
조 원장은 "(홍 전 차장이) 정치인뿐 아니라 체포 지시가 있었다는 얘기를 하지 않았다"며 "윤 대통령이 전화했고 방첩사를 지원하라고 하셨다는 것은 보고했다. 그 외 다른 이야기는 대통령 지시로 (홍 전 차장이) 보고한 게 없다"고 했다.
이에 홍 전 차장은 "방첩사를 지원하라는 대통령의 지시가 있다고 하면서 방첩사에서 한동훈과 이재명을 잡으러 다닌다고 말하니 (조 원장이) '내일 아침에 얘기하자'고 말했"을 뿐 관련 보고 받기를 "거부했다"고 거듭 주장했다.
조 원장은 홍 전 차장의 정치인 체포 지시 보고 주장이 사실인지 묻는 국민의힘 김성원 의원 질의에도 "저한테 보고하지 않았다는 말씀을 제 명예를 걸고 다시 한번 확인하겠다"며 강하게 부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