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열린 연말 전원회의에서 '최강경대미대응전략'을 천명했다.
다만 미국의 트럼프 행정부의 출범, 한국의 12.3 내란 및 탄핵사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 상황과 파병 등 최근 한반도 주변의 중요 국제정세에 대해서는 언급을 하지 않았다.
미국을 "가장 반동적인 국가적 실체"라고 하고, "대한민국이 미국의 철저한 반공전초기지"라고 규정하면서도 이 이상의 언급이나 비난은 없어, 정세 불확실성을 감안해 수위조절을 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북한의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지난 23일부터 27일까지 열린 제8기 제11차 전원회의 확대회의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패권세력권의 입지가 급격히 약화 쇠퇴하고 있는 현 국제정세의 특징에 대해 개괄"하고, "대외부분에서 당의 대외전략구상과 의도에 맞게 주동적이고 공세적인 대외활동으로 우리 혁명에 보다 유리한 대외적 국면을 마련해나가기 위한 전략 전술적 과업들이 제시"됐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미국은 반공을 변함없는 국시로 삼고 있는 가장 반동적인 국가적 실체이며 미일한 동맹이 침략적인 핵 군사블록으로 팽창되고 대한민국이 미국의 철저한 반공전초기지로 전락된 현실은 우리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며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명백히 제시해주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결론에서는 조선민주인민공화국의 전망적인 국익과 안전보장을 위하여 강력히 실시해나갈 최강경대미대응전략이 천명됐다"고 전했다. 그러나 북한은 이 '최강경대미대응전략'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김 위원장은 특히 "인민군대를 당의 영도에 무한히 충실한 혁명적 당군으로, 사상과 기술강군으로 철저히 준비시킬 것"을 강조하면서 "모든 장병들을 정신력의 최강자, 참된 애국군인으로 억세게 키우며 특히 투철한 대적의식과 절대불변의 주적관, 철저한 결연의지를 만장약시키기 위한 사상사업을 공세적으로 벌려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현대전의 요구와 양상에 맞게 그리고 변화되는 적들의 전쟁기도와 수행방식에 대처하여 우리식의 전법연구를 심화시키고 작전지휘의 정보화, 현대화 실현에 계속 박차를 가하며 과학적인 훈련형식과 방법을 부단히 연 구적용하여 인민군대의 전쟁수행 능력을 끊임없이 제고하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또 "가중되는 미국과 추종세력들의 반공화국 군사적 도발책동에 대처하여 국방과학기술의 가속적인 진보와 방위산업의 급진적인 발전으로 자위적인 전쟁억제력 강화를 더욱 믿음직하게 담보할 데 대한 전략전술적방침들"과 "그 실현을 위한 과업들"을 제시하시도 했다.
북한은 이번 보도에서 한반도 주변의 주요 대외현안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 않는 방식을 취했다.
북한군 파병 등 러시아와의 밀착 관계에 대해 "친선적이고 우호적인 나라들과의 관계발전을 적극 도모"라며 에둘러 표현했고, 미국에 대해 '최강경대미대응'을 밝혔으나 트럼프 2기 출범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 않았고, 대통령 탄핵사태를 맞고 있는 한국에 대해서도 '반공전초기지' '미국의 추종세력' 이상의 표현은 없었다.
북한이 자랑하는 핵 무력에 대해서도 직접적인 언급을 하지 않고 "압도적인 전력강화", "자위국방건설에서 사변적인 성과들", "우리의 새로운 전략적 억제력의 실체 과시"등 에서처럼 간접적으로 표현했다.
이에 따라 북한이 주요 대외현안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수위조절을 한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대남관계의 경우 1년 전 전원회의에서 제기한 '적대적 두 국가'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이 나오지는 않았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북한이 미국에 대해 최강경전략을 천명한 것은 내부용"라면서 "미국이나 일본, 한국과의 적대관계 형성이 핵 무력 고도화를 정당화하는 명분이자, 김 위원장의 최고 치적이 될 국방 분야 5개년 사업의 완료를 위한 전제가 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임을출 경남대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가 곧 출범하나 대북정책 방향이 아직은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의 조기 종식여부, 남한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국면 등도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라며 "이런 유동적인 국면을 고려한 것이고, 미국에 대한 강경대응 방침도 기존 관성에 따라 강대강 기조를 반복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대외정세의 불확실성을 감안해 대남 및 대미 메시지를 최소화해 향후 운신의 공간을 확보한 것"이라며 "보다 구체적인 대내외정책은 불확실성이 큰 연말보다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뒤인 내년 1월 22일 최고인민회의에서 보다 분명하게 제시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