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주력인 반도체가 역대 11월 최고 수출 기록을 세우면서 한국 수출이 14개월 연속 플러스 성장을 이어갔다.
그러나 내수는 산업생산과 소비·투자 지표가 모두 감소하는 등 좀처럼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정부는 내수회복에 정책의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대내외적 여건을 고려하면 당장의 성과는 기대하기 어렵다는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수출만' 호조, 14개월 연속 '플러스' 성장…반도체 최대 실적
1일 정부가 발표한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11월 한국의 수출은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1.4% 증가한 563억5천만달러로 집계됐다.
역대 11월 가운데 최대 실적이자, 지난해 10월 이후 14개월 연속 전년 같은 달 대비 증가 기록이다.
수출 품목 가운데 반도체는 11월 중 최대 실적인 125억달러를 수출했다. 이는 한국 전체 수출의 1/4을 차지하는 규모로 수출 효자 종목으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무역수지도 56억1천만달러 흑자로, 지난해 6월 이후 18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가면서, 수출이 한국 경제를 견인해가는 원동력임을 다시 입증했다.
내수 부진 지속…생산·소비·투자 '트리플 감소'
이처럼 수출은 호조를 보이고 있지만 내수는 회복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 10월 산업생산과 소비·투자 지표가 모두 감소했다.
'트리플 감소'는 지난 5월 이후 5개월 만으로, 소매판매가 두 달째 내리막을 보인데다 건설경기도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특히 내수부진이 장기화하면서 '경제 허리'로 일컬어지는 40대 가구의 3분기 사업소득은 통계 집계 이래 최대 폭으로 감소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3분기 가구주 연령이 40대인 가구의 사업소득은 107만4천원으로, 1년 전보다 16만2천원(13.1%) 줄었다.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최대 폭 감소다.
사업소득이 특히 40대에서 부진한 배경은 도소매업 등 재화 소비 중심으로 소비 부진이 장기간 계속되는 점이 꼽힌다.
40대 자영업자 상당수가 재화 소비와 관련된 도소매업에 몰려 있어, 이들 가구가 내부 부진의 직격탄을 맞았다는 분석이다.
지갑 닫는 소비자…소비지출서 의류 비중 역대 최소
내수 부진에 따른 경기침체로 소비자들은 상대적으로 덜 필요한 항목에 씀씀이를 줄이는 등 지갑을 닫고 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3분기 소비지출에서 의류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역대 최소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이 기간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90만7천원으로 집계됐고, 소비지출 가운데 의류·신발 지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 감소한 11만4천원으로 나타났다. 소비지출에서 의류·신발이 차지하는 비중은 3.9%로, 역대 최소 수준이다.
의류·신발 비중은 지난해 4분기 6.0%에서 올해 1분기와 2분기 각각 4.4%, 5.4%로 줄어든 뒤 올해 3분기 3%대로 떨어졌다. 지난 2014~2016년에는 소비지출에서 의류·신발이 차지하는 비중이 7~8%대에 달했다.
의류·신발 지출은 저소득층인 소득 1분위(하위 20%)에서 감소율이 13.1%에 달했다.
소매판매액지수는 전년 같은 달 대비 올해 3월(-3.4%)부터 10월(-0.8%)까지 8개월 연속 하락했다.
소비‧건설 부진 계속?…'트럼프 2기 정부' 출범 성장 제약 가능성
생산·투자 감소는 기저효과 등 일시적 요인이란 해석이 있지만 소비와 건설경기는 부진을 면치 못하는 모습이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제조업·서비스업 생산은 견조하지만 소매판매는 1년 전과 비교하면 마이너스(-)"라며 "건설 분야가 아주 어렵다"고 설명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건설경기는 사이클 주기가 (다른 지표들에 비해) 훨씬 길다고 봐야 한다"면서 "건설수주가 안 좋은 건 1~2년 후 정도에 영향을 주니까 흐름은 쉽게 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향후 경기를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0.1포인트(p) 하락했다. 경기에 대한 판단이 더 어려워졌다는 뜻이다.
향후 경제 전망도 밝지 않다. 한국은행은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직전 전망치(2.1%)보다 0.2%p 낮은 1.9%로 하향조정했다.
미국 '트럼프 2기 정부' 출범 등 대내외 여건들을 감안하면 당장 내년부터 성장세가 제약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정부 관계자는 "미국 신정부 출범 등에 따른 대외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정부는 경제활력 제고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