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장 3800개 규모의 김 양식장이 확대되면서 내년에는 김 공급이 원활해질 전망이다. 김 영문 명칭을 'GIM'으로 국제표준화하는 김의 브랜드화를 통해 오는 2027년까지 수출 10억달러 달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해양수산부는 31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해 김의 생산부터 가공・수출까지 전 주기 개선방안을 담은 '김 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김은 우리나라 대표 수산물이자 수출식품이며 세계 김 시장의 7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올해의 경우 국내외적으로 김 수요가 급증하면서 원물 부족현상이 빚어졌고 이로 인해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공급 확대 필요성이 제기됐다.
해수부는 이에 김 양식장 확대 등을 통해 내수와 수출을 위한 안정적인 원물 공급을 추진하기로 했다.
올해 축구장 3800개 규모인 2700ha의 김 양식장을 확대했으며 먼바다에서의 김 양식도 1천ha 규모로 최초로 시도한다. 내년에도 수급상황을 살펴 추가 양식면적 확대를 검토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이를 통해 내년에는 올해보다 1천만 속, 7% 늘어난 1억6천만 속의 마른김을 생산해 수급 안정에 나선다는 방안이다.
특히 내년부터는 바다가 아닌 육상에서 김을 양식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해 고수온에 강한 김 양식품종도 현장 실증 후 보급하기로 했다.
해수부는 2027년까지 김 양식장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마른김 생산을 1억7천만 속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송명달 해수부 차관은 "김 초과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돼 5100㏊ 규모의 김 양식장을 추가로 구축할지에 대해서도 검토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해수부는 또한 소규모 양식장들이 어업법인화하는 경우 정부 지원사업을 우대하는 등 김 양식업계의 규모화를 유도하고 김 양식현장의 노동력 부담 및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김 양식 자동화 기술도 개발, 보급하기로 했다.
업계 규모화와 스마트화를 통해 김 가공·유통의 효율성도 높이기로 했다.
해수부는 '마른김 수협' 출범 지원 등 300여개의 마른김 업계를 조직화·규모화할 수 있는 방안을 중장기적으로 검토하고, 내년부터 중소벤처기업부와 협업해 김 가공공장을 스마트공장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어 전남 산지거점유통센터(FPC) 1개소를 신축하고, 나주 소비지분산물류센터(FDC)를 증축하며 목포에 수산식품 수출단지를 2026년까지 조성한다는 방안이다.
K-김의 브랜드 가치를 높여 김 수출 확대에도 나선다.
먼저 우리 김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브랜드가 될 수 있도록 김 영문 명칭인 'GIM'을 확산시키고, 국제표준화(국제식품규격위원회, CODEX)도 추진한다.
송 차관은 "그간 김은 해외에서 노리(Nori, 일본 명칭)나 씨위드(Seaweed)로 불려 왔는데, 우리 명칭인 'GIM'이 해외에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홍보해 K-GIM 그 자체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브랜드가 될 수 있도록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소비자의 선택의 폭은 넓히고 생산자는 품질에 따라 가격을 차별화할 수 있도록 김 제품 등급제를 도입해 우수한 품질의 김 생산을 유도해 나가기로 했다.
올해 11월에는 프랑스 파리에 해외무역지원센터를 개설해 유럽 김 시장 개척도 강화하기로 했다.
해수부는 이를 통해 오는 2027년까지 김 수출액을 10억달러로 늘린다는 목표이다. 지난해 김 수출액은 7억9천만달러(약 1조900억원)를 기록했고, 올해는 지난 9월 현재 7억7천만달러(약 1조600억원)를 달성했다.
해수부는 또한 가격, 수급 등 김 산업 현안에 긴밀히 대응하기 위해 종자·양식·가공·수출 업계가 모두 참여하는 김 산업 협의체를 정기적으로 운영하는 등 정부-업계 간 거버넌스도 강화하기로 했다.
정부와 김 업계는 상생 MOU를 체결해 생산방향을 논의하고 수급 불안 등에 대응할 예정이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김 산업의 경쟁력 강화방안을 통해 국민들이 부담 없이 김을 소비할 수 있도록 하고, 세계 시장에서 우리 김의 위상을 확고히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