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내 벤처투자 규모를 오는 2027년까지 16조원으로 키우고 글로벌 투자 유치 규모도 1조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일 이 같은 내용 등의 '벤처스타트업의 글로벌화를 위한 선진 벤처투자 시장 도약 방안'을 발표했다.
중기부는 지난해 11조원 규모의 국내 벤처투자 시장 규모를 2027년 16조원, 2030년 20조원까지 키우고 글로벌 투자유치 규모도 지난해 2천억원 수준에서 2027년 1조원, 2030년에는 2조원까지 늘려 글로벌 자금의 국내 벤처 투자 비중을 2%에서 10%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치를 제시했다.
중기부는 이를 위해 글로벌 투자 유치를 촉진하고 국내 투자자를 확충하는 한편, 균형적 벤처 투자를 성장시켜 글로벌 수준 투자환경을 조성하겠다는 전략을 내세웠다.
우선 글로벌 투자 유치를 위해 싱가포르에 '글로벌 투자 유치 모펀드'(K-VCC);를 설립하기로 했다. 이는 국내 벤처캐피탈이 적은 비용으로 글로벌 펀드를 만들고 글로벌 투자 유치에 나설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플랫폼 역할을 한다.
정부는 2027년까지 싱가포르에 2억 달러 규모의 펀드 조성을 추진하고 중동과 미국 델라웨어 등 글로벌 금융허브에 추가 설립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또한 글로벌 펀드도 매년 1조원 추가 조성해 2027년까지 15조원 규모로 키우고 세계적인 벤처캐피탈의 국내 유치를 위해 2026년 문을 여는 'K 딥테크타운' 입주 우대 등의 혜택도 주기로 했다.
국내 투자자 확대를 위해서는 은행이 과감하게 벤처투자에 나설 수 있도록 일정 요건을 충족한 정책펀드에 대해서는 위험가중치 특례를 적용하고 우선손실충당과 우수기관 포상 확대 등의 인센티브도 새롭게 제공하기로 했다.
또한 대기업과 공기업이 출연한 상생협력기금을 벤처투자로 유입시키기 위해 한국벤처투자가 운용하는 '상생협력 모펀드'를 조성하고 기업형 벤처캐피탈(CVC)의 외부자금 모집 비율과 해외투자 비중 규제도 지속 완화하기로 했다.
퇴직연금의 벤처투자 참여 여부를 타진하기 위해 연금가입 기업과 연금 사업자 등을 대상으로 의견수렴, 수요확인 등의 논의도 시작한다.
중기부는 벤처투자의 균형 성장을 위해 비수도권 전용 벤처펀드를 2027년까지 1조원 추가 조성한다.
또한 중간 회수 시장 활성화를 위해 내년 1억달러 규모로 글로벌 세컨더리 펀드를 조성하고 M&A와 세컨더리 분야 규제도 대폭 완화하는 한편 모태펀드의 영구화도 검토하기로 했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수준의 투자환경을 마련하기 위해 의무투자 대상을 창업벤처기업에서 전 중소기업 등으로 확대해 벤처투자회사의 자율성을 높이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