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대응 최전선' 지방의료원, 2020년부터 누적적자 2조↑

2020~2023 4년간 약 2조 969억…흑자 낸 공공병원은 '제로'
정부 '손실보상 지원금'(1조 5935억)은 적자규모 76%에 불과
김남희 의원 "지역 필수의료기관인 공공병원에 과감한 지원 필요"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서울 중랑구 서울의료원 권역응급의료센터를 찾아 박현경 서울의료원 권역응급의료센터장(오른쪽)으로부터 센터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2020년부터 3년여 간 대유행한 코로나19 대응에 집중 투입됐던 지방의료원의 누적 적자규모가 2조 원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지방의료원 30여 곳은 감염병전담병원으로 지정돼 보유병상을 모두 비우고 확진자들을 받아 치료에 총력을 쏟았다. 정부는 이들 공공병원에 손실보상금을 지원했으나, 팬데믹 이전의 진료 수준을 회복하기엔 역부족인 것으로 파악됐다.
 
2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남희 의원실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2020~2023 지방의료원별 회계 결산자료'와 '코로나19 손실보상금 지원현황'에 따르면, 전국 지방의료원 35곳이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간 낸 의료이익 적자는 총 2조 968억 9천만 원이다.
 
같은 기간 정부가 코로나19 관련 손실보상 명목으로 전체 지방의료원에 지급한 금액은 1조 5935억 정도로 전체 적자 규모의 76% 수준에 그쳤다.
 

더불어민주당 김남희 의원실이 복지부가 제출한 '2020~2023 지방의료원별 회계 결산자료'와 '코로나19 손실 보상금 지원 현황'을 분석, 재가공한 자료. 의원실 제공

4년간 1천억 원 이상의 적자를 본 지방의료원도 세 곳이나 됐다. 서울의료원이 2916억 원으로 누적 적자가 가장 많았고, 성남시의료원이 1605억, 부산의료원이 약 1302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
 
세 병원이 당국으로부터 받은 손실보상금은 △서울의료원 1529억 원 △부산의료원 1147억여 원 △성남시의료원 808억여 원 등 '마이너스' 구조를 면하기엔 턱없이 모자랐다.
 
500억 이상 1천억 이하 규모의 의료이익 적자를 본 지방의료원도 15곳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당 김남희 의원실 제공

코로나19 유행이 시작된 2020년 이후 의료이익이 흑자를 기록한 지방의료원은 단 한 곳도 없었다.
 
앞서 김남희 의원이 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방의료원 35곳은 지난해 말 기준 40%(14곳)가 의사 정원을 충족하지 못한 상태였다. 간호사도 정원 미달인 병원이 약 68.6%(24곳)에 달했다.
 
2020년부터 올 6월까지 의사 수 부족으로 장기간 휴진이 발생한 적이 있는 지방의료원은 74.3%(26곳)에 이른다. 지역·필수의료를 살리겠다며 정부가 추진 중인 '의료개혁'에도 불구하고, 공공병원과 종사 의료인력의 처우는 여전히 열악한 상황이다.
 
김 의원은 "코로나19 대응에 집중 투입된 지방의료원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기까지 예상보다 훨씬 더 많은 시간이 걸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 손실 보상 차원이 아니라, 지역의 필수의료기관 역할을 하는 지방의료원을 살리기 위한 과감한 국가의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남희 의원(경기 광명시을). 의원실 제공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