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4분기에 서울에서 재건축이 가능한 30년 초과 노후 아파트 거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신고된 연령대별 아파트 거래 비중을 분석한 결과, 올해 3분기 30년 초과 서울 아파트 거래 비중이 전체 거래량의 21.2%를 차지했다.
30년 초과 거래 비중이 올해 1분기에는 18.8%, 2분기는 17.8%였던 것보다 크게 늘어난 것이다.
최근 아파트 시장은 신축 아파트 선호 현상이 강해졌는데, 공사비가 급등하면서 재건축 조합원들의 추가 분담금이 많아지고 수익성이 떨어져 낡은 아파트보다 신축 아파트 매입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3분기 들어 30년 초과 거래가 증가한 이유는 재건축 대상 아파트값이 신축 아파트보다 덜 오른 영향이 크다.
한국부동산원의 서울 아파트 연령별 매매가 지수를 보면 지난 7월 기준 5년 이하 신축 아파트가 98.1(기준 100), 5년 초과~10년 이하가 98.1을 기록한 반면, 20년 초과는 94.6으로 전 연령대를 통틀어 가장 낮았다.
또 최근 들어 재건축 공사비 상승세가 진정 기미를 보이고, 정부가 도심 재건축 사업 지원에 나선 것도 일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는 앞서 '8·8 대책'에서 재건축·재개발 촉진법을 추진해 정비사업 절차를 앞당기고 용적률을 상향해 수익성을 높이는 한편,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는 폐지하기로 하는 등 도심 정비사업 지원에 나섰다.
서울시도 노원구 등 강북지역 재건축을 지원하기 위해 역세권을 준주거지역으로 종상향하고, 공공기여 비율을 축소하는 등 '강북권 대개조'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반면 경기도는 5년 이하 신축 아파트 거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경기도의 5년 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은 올해 1분기 13.9%, 2분기 16.1%, 3분기 18.0%로 증가한 반면, 30년 초과 아파트 거래 비중은 1분기 10.2%, 2분기 9.8%, 3분기 9.0%로 감소했다.
경기도 아파트 중 거래 비중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21~30년 이하로 1분기 33.6%에서 2분기는 32.3%, 3분기는 30.6%로 감소했다.
이에 대해 경기도에서 30년을 초과한 아파트가 있는 1기 신도시 중 분당 외에는 재건축이 쉽지 않다는 전망 때문에 여전히 신축 아파트를 선호하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