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내 수소트램 도입 넘어 제주 전역 철도망으로 연결

제주 도시철도망 수립 용역 도민설명회 개최

제주도 도시철도망 구상도. 제주도 제공

제주시내권을 중심으로 수소트램 도입이 검토되는 가운데 제주도 전역을 철도망으로 연결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제주도는 12일 제주웰컴센터 1층 웰컴홀에서 '제주 도시철도망 계획수립 용역' 착수에 따른 도민설명회를 가졌다.

이번 용역은 수소트램 도입 등이 핵심으로 도시철도법상 지역 내 철도를 설치하려면 도시철도망 계획이 기반돼야 한다.

용역을 맡은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은 제주시내권에 수소트램을 도입해 대중교통체계와 연계하는 방안에서 한발 더 나아가 제주도 전역을 철도망으로 연결하고 서귀포내권과 제주 제2공항과도 연계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용역의 공간적 범위를 제주시 도심부 일대에서 벗어나 제주시·서귀포시 등 제주도 전체를 대상으로 설정한 것이다.

차량시스템도 수소트램은 물론 고가·지하경전철·일반철도 등 다양한 방식을 검토하기로 했다.

'제주 도시철도망 계획수립 용역' 착수에 따른 도민설명회가 12일 제주웰컴센터 1층 웰컴홀에서 열렸다. 이인 기자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제주도 전역을 철도망으로 두르는 '제주순환선'을 연결하고, 제주시 도심지는 제주국제공항을 중심으로 한 수소트램을 도입한다.

서귀포시에선 중문관광단지와 서귀포혁신도시, 서귀포항 여객터미널 등을 철도망으로 연결하는 구상을 제시했다.

용역진은 열차운영계획에 대해 대상지의 입지적 특성을 고려하고, 노선 계획, 수송수요, 차량공급 과 건설·운영 측면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선정하겠다는 입장이다.

용역진은 또 과도하게 세부적인 노선대안이나 역 위치 결정 등은 배제하고, 법정계획 승인 요건을 갖춘 노선에 대해 국비확보 방안을 찾는 것이 우선이라고 밝혔다.

버스노선과 같은 굴곡 노선과 지선 노선도 검토대상에서 제한하기로 했다.

용역진은 그동안 수소트램 도입 노선 발굴에 중점을 뒀다면 이번 용역에선 실행 가능한 도시철도 노선망 구축과 국비 지원을 위한 예비타당성 통과 전략에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했다.

제주도는 내년 12월 국토교통부의 승인을 받을 수 있도록 수소트램 노선 등에 대한 도시철도망구축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