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츠 전기차 화재 이후 이른바 '전기차 공포증'이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현대차·기아가 이를 해소하는데 팔을 걷고 나섰다. 잘못된 정보와 막연한 오해가 불안감 확산을 부추기는 측면이 있는 만큼 명확한 사실관계로 오해를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전기차 화재, 내연기관차보다 적다
현대차·기아는 29일 배포한 참고자료에서 "최근 전기차 화재의 언론 보도가 늘어나며 '전기차는 화재가 많다'는 인상을 주고 있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고 설명했다. 소방청 통계에 따르면 자동차 화재는 비전기차와 전기차 합계 매년 4500건 이상 발생하고, 지난해에는 4800건에 이르는 등 하루에 약 13건 이상 일어날 정도로 빈번하다.연도별 자동차 누적 등록대수를 기준으로 산출한 1만대당 화재 건수를 보면 지난해 기준 비전기차는 1.86건, 전기차는 1.32건으로 나타났다. 전기차 화재 발생 비율이 비전기차 대비 30% 정도 낮은 것이다.
특히 소방청의 화재 통계는 충돌 사고·전장 부품 소손 등에 따른 화재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또 초소형 전기차와 전기삼륜차 등도 함께 집계한다. 때문에 이같은 요인을 제외하면 승용 전기차에서 고전압 배터리만의 원인으로 화재가 난 사례는 훨씬 줄어든다는 게 현대차·기아의 설명이다.
화재 발생해도 무조건 열폭주는 아냐
현대차·기아는 "전기차 화재가 열폭주 때문에 진압이 어렵고, 차량이 전소돼야 불이 꺼진다는 주장이 있는데 이 역시 일부는 맞고 일부는 틀리다"고 강조했다. 전기차 화재는 내연기관차와 마찬가지로 여러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고, 실제로 기타 부품 등 외부 요인으로 인한 대부분의 전기차 화재는 배터리 열폭주를 수반하지 않기 때문이다.
배터리팩은 고도의 내화성·내열성을 갖춰 배터리 이외 요인으로 화재가 발생했을 때 불이 쉽게 옮겨붙지 않는다. 최신 전기차에는 열폭주 전이를 지연시키는 기술도 탑재돼 조기 진압시 화재 확산 방지가 가능하다.
여기에 소방기술 솔루션 업체들이 전기차 화재 진압 시간을 10분 내외까지 단축할 수 있는 기술을 앞다퉈 개발하고 있는 만큼 전기차 화재의 진압 시간은 앞으로 점차 짧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차·기아는 "전기차 화재에 효과적으로 대응한다면 내연기관차의 연료가 연소하면서 확산되는 화재보다 더 빠르게 진화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화재 확산, 내연기관차보다 빠르지 않아
전기차 화재는 배터리의 열폭주를 동반하고 온도가 1000도 이상으로 치솟기 때문에 내연기관차 화재보다 위험하고 피해가 크다는 주장에도 "사실과는 다른 면이 있다"고 현대차·기아는 강조했다.기본적으로 배터리 1kWh의 열량은 3.6메가줄(MJ)로, 가솔린 1리터의 열량 32.4MJ 대비 크게 낮다. 이에 따라 같은 용량이라면 열량이 높은 연료를 싣고 있는 내연기관차의 화재 확산 속도가 더 빠르고 차량 외부 온도도 더 높이 오르는 편이다.
한국방재학회는 2021년 발행한 '전기자동차와 가솔린자동차의 실물화재 비교 분석' 논문에서 이같은 사실을 검증했다. 가솔린차는 폭발 위험에 대비해 3리터만 주유하고 전기차는 100% 완전 충전한(NCM 배터리 16kWh) 조건으로 화재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가솔린차의 화재 확산이 더 빠르고, 외부 온도도 훨씬 높게 올라간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두 차량 모두 실내 온도는 1300도 수준이었지만, 외부 온도는 가솔린차가 최고 935도, 전기차는 최고 631도로 차이를 보였다.
지하주차장 화재는 스프링클러가 중요
현대차·기아는 "지하주차장 등 실내에서 자동차 화재가 발생한 경우 전기차, 내연기관차 등 차량 종류와 무관하게 스프링클러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화재소방학회가 지난 4월 발행한 '지하주차장 내 전기자동차 화재의 소방시설 적응성 분석을 위한 실규모 소화 실험' 논문에 따르면 스프링클러 작동만으로도 인접 차량으로의 화재 전이를 차단할 수 있다는 사실이 입증됐다. 전기차 화재에 특화된 하부 스프링클러까지 설치된다면 배터리 열폭주 가능성은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실제로 지난 5월 전북 군산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는 스프링클러가 정상 작동해 45분만에 진화됐다. 반면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은 경우에는 내연기관차 화재에서도 피해 규모가 컸다.
지난 2022년 대전 한 아울렛 지하주차장의 1톤 트럭에서 시작된 화재로 7명이 사망하고, 2014년 용인시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차량 120여대가 피해를 입은 사고 등 내연기관차 화재로 대형 피해가 발생한 사례 모두 공통적으로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았다.
전기차 배터리 100% 충전해도 안전
최근 일부 지자체는 배터리 충전량 90% 이하의 전기차만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출입을 허가하는 방안을 검토중이지만, 현대차·기아는 "배터리 충전량과 화재 발생은 연관성이 미미해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다"고 밝혔다.현대차·기아 등 자동차 제조사들은 전기차 배터리를 100% 완전 충전해도 충분한 안전범위 내에서 관리되도록 설계하고 있다. 고객에게 보여지는 계기판의 충전량 100%가 실제로는 100%가 아니며 만에 하나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배터리관리시스템(BMS)가 과충전을 차단하고 제어한다.
배터리 제조사와 자동차 제조사는 배터리의 내구 수명을 확보하기 위해 일정 수준의 내구 성능 마진을 두고 있다. BMS가 사용 가능한 배터리 용량을 재산정하는 리밸런싱을 통해서도 추가적인 마진을 확보한다.
현대차·기아는 과충전에 의한 전기차 화재가 현재까지 '0건'임을 강조했다. 배터리 전문가인 윤원섭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도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배터리를 100% 충전하면 위험하다는 것은 일반인이 주로 오해하는 부분"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