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VY리그 꿈꾸는 계명대…캠퍼스는 '대구의 핫플'

그리스풍 계명대 성서캠퍼스 정문 구조물. 이재기 기자

미국 IVY리그 8개 명문대학 못지않게 짜임새 있게 조성된 계명대 성서캠퍼스가 오픈 40년이 지나면서 주변지역과도 잘 조화를 이뤄 대구 서남지역 도심의 대표 볼거리로 부상했다.

대구 도심에서 신천대로와 구마고속도로를 거쳐 대구 달서구 성서에 위치한 계명대 성서캠퍼스까지는 대략 30여 분이 걸린다. 18일 직접 가보니 도심 접근성이 좋은 곳이었다. 중구나 수성구지역에서는 대구의 중심축 달구벌대로를 따라 짧은 시간에 다다를 수 있는 곳이다. 캠퍼스는 교통의 요지에 자리 잡고 있었다.

계명대 관계자는 이날 "학교 입지 선정에서부터 부지 매입 및 건물 신축 예산 조달, 캠퍼스 조성 방식에 이르기까지 현 신일희 총장의 아이디어와 구상이 미치지 않은 곳이 없을 정도로 역할과 기여가 컸다"고 말했다.
 
계명대 현판과 정문의 정중앙 건축물. 이재기 기자

계명대 내부에는 신 총장이 계명대와 계명문화대, 부설 동산병원 등 3개 기관을 통째로 이전하면서 기존 학교부지에는 아예 손도 대지 않고 기부와 펀딩 등 다른 자금조달 루트로 소요비용을 전액 만들어낸 걸 두고 경영능력을 새삼 거론하는 교수.직원도 있었다.
 
자동차로 성서캠퍼스에 닿으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건물이 정문이다. 한국에서 가장 흔하게 구할 수 있는 화강암을 이용해 코린트나 이오니아 양식으로 기둥을 깎고 그 위에다 역시 삼각형의 석조지붕을 얹었다. 마치 그리스의 아크로폴리스 또는 포로 로마노에서나 볼 수 있을 것 같은 새롭지만 이국적인 조형미에 눈길을 뺏기게 된다.

정문을 지나 대학본부 '행소관'까지 훤하게 뚫린 길을 따라 300-400미터 구간을 지날 때까지 다른 대학과 커다란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했다.

하지만 본부에다 차를 세우고 아담스채플을 시작으로 학교 내의 '핫스팟 7'을 둘러볼수록 더 확실히 마음속에 새겨지는 심상은 일단 대구와 경북 더 나아가 수도권지역 대학들과도 확연히 다른 무언가가 있다는 것. 핫스팟 7은 필자가 직접 붙였다.

아담스채플은 이 학교의 상징과도 같은 곳이다. 건학이념인 기독교 복음의 전파와 가장 맞닿아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계명대는 올해로 건학 125년이다. 1899년도에 제중원이란 이름으로 대구에서 시작됐고 설립자는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인 에드워드 아담스다. 그를 기려 20세기 말(1999년) 학교 100주년을 기념해 건립했다.

아담스채플. 이재기 기자
채플의 내부 모습. 이재기 기자
계명대 캠퍼스 뒷산인 궁산(250.9m)자락에 안기듯 배치된 아담스채플은 학교 모든 건축물 가운데 제일 높은 곳에 위치해 있다. 붉은 색 벽돌 건물에 3개의 탑을 세우고 중앙탑 꼭대기에는 청동 큐폴라를 얹었다. 시공 당시엔 청동색이었으나 지금은 황갈색으로 생삭이 바뀌었다. 20년 세월의 풍상이 건물 위에 얹힌 듯 했다.

아담스채플의 지붕. 이재기 기자

계명대는 건학의 이념대로 복음 전파와 기독교적 교양 함양에 교육의 커다란 비중을 두고 있고 1학년생들은 의무적으로 채플을 수강해야 한다. 채플 학점을 따지 못하면 졸업이 불가능하단다.

아담스홀의 표석. 이재기 기자

채플 건물이 보유한 또다른 명물은 성전 벽면에 설치된 초대형 파이프 오르간. 주석 등 금속재질로 제조된 대규모 파이프들은(1400개) 웅장한 음을 만들어내는 악기로도 성전의 벽을 중후하게 장식하는 마감재로도 제 역할을 해내고 있다. 설치 작가는 칼 슈켈이다.

채플의 내부 정면에 있는 파이프오르간은 소리 만큼이나 외관도 중후하다. 이재기 기자

캠퍼스 제 2,3경은 아담스채플 좌측 아랫부분에 위치한 대학박물관과 메타세콰이어길이다. 박물관 노천에는 갖가지 유물과 아름다운 조경수들로 주변을 압도하는 풍경을 만들어 외부인들도 즐겨 찾는 포인트다. 박물관 바로 우측면에 조성된 200m내외의 메타세콰이어길은 박물관과 어우러져 일대를 더욱 아름다운 곳으로 탈바꿈시켰다.

소나무숲 뒤로 박물관 건물이 보인다. 박물관 앞에는 각종 유물들로 노천박물관이 꾸며져 있다. 이재기 기자

메타세콰이어길은 계명대 내 벚꽃길과 더불어 대학의 대표적인 걷고 싶은 길, 아름다운 길로 자리잡았다.

박물관 바로 옆 메타세콰이어길. 이재기 기자

박물관에서 달구벌대로 방향으로 조금 나아가면 나오는 건물이 대학원과 그 너머 음악대학과 계명아트센터다. 제4경이다.

계명대 캠퍼스의 중심부에 위치한 대학원동 아름다운 조형미를 자랑한다. 이재기 기자
계명아트센터는 파르테논 신전 류의 화려하면서도 웅장한 기둥이 압권이다. 이날 아트센터 내부로 들어가 볼 수는 없었다. 그러나 이 공연장은 2000석 규모로 대형세트와 수조 등의 복잡한 시설들이 설치되는 '오페라의 유령'을 올릴 수 있는 영남의 유일한 공연장이라고 한다.

 
계명아트센터 입구. 이재기 기자
4군데 스팟을 감상하면서 캠퍼스 경내 절반을 돌 때 쯤이면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느낌이 있다. '어 이 학교 색상이 예사롭지 않다!' 계명대 대명동캠퍼스도 그랬지만 성서캠 역시 모든 건물이 붉은 벽돌과 벽돌을 파티션 짓는 흰색 계통의 돌들로 축조돼 깔끔하면서도 강렬한 느낌을 발산하고 있다.

그리고 하나 더 미국 동부의 IVY리그 학교들이 저마다 고풍스러운 건물들로 교정을 채우고 그 위로는 짙은 녹색 담쟁이 덩굴로 덮어놓은 것처럼, 성서캠의 건물들도 비슷한 느낌을 준다. 단과대에 따라 어떤 건물은 40년이 된 것에서 일부는 근년에 완공된 것들도 있지만 공통점은 '붉은 벽돌'과 담쟁이(IVY)이다. 이로인해 캠퍼스 역사가 비교적 짧지만 백년은 된 것 같다는 착각이 든다.

담쟁이덩굴이 건물 벽을 타고 오르기 시작한 아담스채플 풍경. 이재기 기자
캠퍼스를 조성하면서 거목들을 많이 심은 것도, 궁산의 산지 지형을 활용해 교정을 조성한 것도 고풍스러움을 더해주는 이유가 됐다.
 
캠퍼스 조성의 아이디어와 방식은 대부분 신일희 총장의 머리에서 나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미국 프린스턴에서 학위과정을 이수한 유학파다. 그래서 재학시절 미국대학들의 캠퍼스 풍경에 익숙했고 때로는 사진으로 때로는 습작으로 그 광경들을 저장해 뒀다가 성서캠 조성 때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일희 총장이 학창시절 스케치해둔 기둥의 디자인. 정문과 일부건물에 이용됐다. 신일희 총장 저서 갈무리
계명대는 미국 동부의 대학들을 떠올리게 하는 외관을 갖고 있지만 캠퍼스 건물 가운데 가장 한국적인 곳이 5,6경이다. 99칸을 이루는 한옥 2동과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발산하는 서운정(구 익청정)과 가온길이 그곳이다.

한학촌의 정면 모습. 이재기 기자
한학촌 내부 처마 아래로 자그만 네모꼴로 보이는 물건이 밥상이다. 이재기 기자
계정헌(溪亭軒)이란 현액이 걸려 있는 한옥은 기부자가 구 고려예식장 대표의 호 '계정'에서 이름을 따온 것이다. 계명대가 기존 학교부지를 매각하지 않고 새로운 캠퍼스를 조성할 당시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어갔지만 오랜 세월이 걸렸으되 완공할 수 있었던 데는 기부자들의 도움이 크게 작용했다

한옥 입구 뒤로 멀리 계정헌 현판이 보인다. 이재기 기자
99칸 한옥은 옮겨온 것이 아니라 모두 신축한 것들이다. 이곳은 박근혜 전 대통령 재임 시절 치러진 '세계 물포럼'의 정상급 귀빈 오찬장으로 사용됐다. 헝가리와 모로코, OECD 등 8개국 정상이 함께했다.

한학촌은 TV드라마 'Mr. 선샤인'의 촬영지로도 사용돼 유명세를 탔다. 이곳은 단순히 경관을 위해 설치된 장소가 아니다. 계명대는 이곳을 인성.예절교육과 다도교육, 서예교실 등으로 이용 중이며, 평소에는 한옥 안팎 어디나 학생과 일반인이 출입할 수 있게 개방돼 있다.

정상들이 오찬을 했다는 기록이 보인다. 이재기 기자
아담스채플에서 바로 아랫쪽으로 난 길을 따라 내려가면 한학촌과 서운정에 이른다. 대략 1~2천 평은 족히 될 만큼 넓은 소나무 숲 속에 한옥과 정자, 한옥~정자에 이르는 계곡까지 한학촌 일대는 구한말 한양도성 주변 삼각산과 인왕산 자락에 만들어 졌던 세도가들의 별서(別墅)와 유사한 외형을 갖췄다. 외빈들에게 한국의 미를 보여주기에도 좋다.

한학촌 사이를 흐르는 계곡은 서운정과 맞닿아 있는 인공연못으로 물길이 이어지는데 그 연못 바닥의 모래 알갱이와 자갈돌이 훤히 들여다 보일 정도로 유리알처럼 투명하다.

연못 뒤로 정자가 놓인 배치가 고풍스러운 멋을 풍긴다. 이재기 기자
그만큼 연못의 물 관리가 철저함을 미뤄 짐작해 볼 수 있는데, 계명인들이 지켜야할 4덕목에 융합, 정직 등과 함께 '청결'이 포함될 만큼 신일희 총장은 깨끗하고 고고한 성품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못의 맑은 물을 보면서 신 총장의 성향을 미뤄 짐작해봤다.

7경은 뛰어난 인재 양성의 확고한 의지가 읽히는 매머드급 기숙사다. 마지막으로 방문한 계명대 기숙사는 대구 최고 수준인 동산병원 구간을 지나 조금 더 가면 궁산 자락에 포근히 쌓인 지형으로 다가온다.

계명대의 매머드급 기숙사 공간. 계명대 제공
기숙사 역시 트레이드마크인 붉은 벽돌 건물에 담쟁이에서 예외는 아니다. 그러나 이 보다는 그 규모다. 기숙사로 사용되는 건물 숫자가 10개 동이다. 2인, 4인실 등을 합쳐 1421실에 학생 수용 규모가 자그마치 2932명이다. 대형 호텔 여러 개를 합쳐도 여기에 미치지 못할 정도로 규모가 크다.

성서캠은 대구지하철 계명대역이 학교 앞에 위치해 이동 편의성이 좋은 곳임에도 불구하고 국내 최고 수준의 기숙사를 갖춰 학교로 입학하는 학생들은 이동에 쓰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학업에만 전념할 수 있다. 협소한 대명동 캠퍼스를 벗어난 계명대는 먼 미래를 내다보는 안목과 걸맞은 틀을 갖추고 있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