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출산율·출생아 수, 시·도 구분 없이 모두 곤두박질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출생·사망 (잠정)통계'를 보면 지난해 서울을 제외한 전국 지자체 가운데 합계출산율이 가장 낮은 곳은 부산이다. 부산은 지난해 합계출산율이 0.66을 기록해 처음으로 0.7명대 아래로 떨어졌다. 2022년 부산지역 합계출산율은 0.72명이었다.
합계출산율이 가장 큰 폭으로 떨어진 곳은 광주로 나타났다. 지난해 광주지역 합계출산율은 한 해 전에 비해 무려 16.4% 떨어져 0.71명대로 내려앉았다. 출생아 수 역시 17.1%나 줄어 6200명에 그쳤다.
세종 역시 출산율이 13.2% 감소해 0.97명까지 떨어졌다. 세종지역은 2022년 합계 출산율이 1.12명으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1명 이상을 기록한 곳이지만 지난해 출산율이 크게 떨어져 결국 1명대가 무너졌다.
경기 지역은 출생아 수가 2022년 7만 5200명에서 지난해 6만 8800명으로 6500명이나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국 지자체 중에 합계출산율이 증가한 곳은 충북과 전남뿐이었다. 충북은 한해 전에 비해 합계출산율이 1.7% 올라 0.89명을 기록했다. 전남은 0.97명으로 0.3% 올랐다.
'출생보다 사망이 더 많아' 대부분 지역에서 인구 자연 감소 발생
출생아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인구 자연 증가(감소) 통계 역시 지방 소멸 위기를 그대로 보여준다.
지난해 전국 인구 자연 감소 수는 12만 2800명으로 집계됐는데 도 단위 광역 단체의 자연 감소가 8만 1400명에 달했고, 특별·광역시도 4만 1400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부산 인구는 1년 동안 1만 3400명이나 자연 감소해 특별·광역시 중에 가장 많았다. 인구가 3배가량 많은 서울보다도 1300명가량 더 많은 자연 감소가 발생했다.
도 단위 단체에서는 경북지역 자연 감소가 1만 5100명에 달해 가장 많았고 경남이 1만 3300명으로 뒤를 이었다. 전국에서 인구 자연 감소가 가장 많은 곳이 영남권에 집중돼 영남지역 인구 절벽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자연 증가가 발생한 곳은 세종시가 유일했다. 세종은 2800명이 태어나고 1600명이 사망해 1200명이 자연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부산 중구 출산율 0.31명…지역 소멸 가시화
기초단체별 출산율 통계는 더욱 상황이 심각하다. 부산 중구는 지난해 합계출산율이 0.31명까지 떨어져 전국 최저를 기록했다. 0.3명대 출산율 부산 중구와 서울 관악구 뿐이었다.
지난해 부산 중구 출생아는 100여 명에 그쳤다. 대구 군위군과 인천 옹진군 역시 출생아 수가 100여 명으로 집계됐다.
도 단위 지역에는 출생아 수가 100명에 그친 기초단체가 49곳에 달하는 반면 1천 명 이상 태어난 지역은 5곳에 불과했다.
이처럼 기초단체 출산율이 곤두박질치면서 행정안전부가 지정하는 '인구 감소 지역'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행안부는 전국 기초단체 가운데 인구 감소 위기가 심각한 지역을 '인구 감소 지역'으로 지정하고 있다. 지난 2021년 89개 기초단체를 지정해 재정 등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산부인과 문닫고 분만실 중단하고…"아이 낳을 곳이 없다"
출생아 수가 급격하게 감소하면서 지역에서는 병원이 분만실 운영을 중단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이번 달 기준 부산지역에서 분만이 가능한 산부인과는 모두 26곳으로 집계됐는데, 이는 10년 전에 비해 절반 이하로 줄어든 수준이다. 특히 사상구와 중구, 영도구는 분만 가능한 병원이 한 곳도 없어 아이를 낳기 위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해야 하는 처지다.
부산지역 출산 진료에 중추적인 역할을 해 온 일신기독병원은 지난 9일 정관일신기독병원 분만실 운영을 중단했고 산후조리원도 이번 달에 문을 닫는다. 북구에 있는 화명일신기독병원도 5월까지만 분만실을 운영할 예정이라 분만실 수는 더욱 줄어들 전망이다.
울산에서는 유명 산부인과 병원인 '프라우메디병원'이 지난해 9월 잠정 휴업에 돌입했다. 해당 병원은 올해 정형외과로 다시 문을 열 계획으로 알려졌다.
광주에서도 대형 산부인과 중 하나인 문화여성병원이 지난해 문을 닫는 등 '경영난'을 이유로 병원 자체가 문을 닫는 사례도 전국적으로 속출하며 출산율 감소에 따라 아이 낳을 곳이 사라지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