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대 총선 D-100여 일…광주전남 6대 관전 포인트는?

현역 의원 물갈이 폭 '관심'
송영길 전 대표 구속에 따른 여파
이낙연 전 대표 등 '제3 지대' '촉각'
올드보이 및 중견 신예 정치인의 '성적표'
국민의힘 및 진보정당 교두보 확보·약진 여부
최종 선거구획정안도 '복병'

13일 서울 종로구 서울시선거관리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직원들을 대상으로 제22대 국회의원선거 대비 모의개표 실습이 진행되고 있다. 박종민 기자

내년 4월 10일 치러지는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가 지난 12일 예비 후보 등록이 시작된 후 본격적 선거 레이스에 들어갔다.

지난 22일까지 광주 30명과 전남 36명 등 모두 66명이 예비 후보 등록을 마치고 표밭갈이에 나서면서 총선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현역 의원 심판론 vs 수성론

100여 일 앞으로 다가온 22대 총선의 광주저남 최대 관전 포인트는 더불어민주당이 독점한 국회의원에 대한 실력 부재에 따른 실망감이 커서 현역 의원의 물갈이 폭이 얼마나 될지다.

역대 총선 물갈이 폭은 지난 2020년 21대 총선에서 19대 때 국민의당 '녹색돌풍'으로 당선됐던 18명 중 15명, 83%가 새 얼굴로 바꿔 현역 교체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17대 66%, 16대 61%, 18대 52%, 19대 35% 그리고 20대 45%에 달했다.

올해 각종 여론조사에서 광주전남 유권자 과반이 물갈이에 찬성하는 점도 주목할 대목이다.

반면에 국회의원은 선수가 많아야 지역 예산 확보나 상임위원장 선임 등 제 역할을 할 수 있어 다선 의원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한편에서는 현역의원의 수성도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송영길 전 대표 구속 따른 여파

민주당 송영길 전 대표가 전당대회 돈봉투 사건으로 구속되면서 연루 의혹으로 광주 1명, 전남 3명 등 4명의 현역 의원 이름이 거론되고 있어 검찰의 수사 결과에 따라 현역 의원 물갈이 폭이 더 커질 전망이다.

돈봉투 수수 의혹을 받는 이들 의원은 모두 돈을 받은 사실을 전면 부인하고 이를 공표한 언론사 등에 대해 명예훼손 등으로 고소·고발까지 하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그러나 송 전 대표가 구속되면서 돈봉투를 받은 것으로 지목된 민주당 현역 의원들에 대한 줄소환이 예고되면서 총선을 100여 일 앞두고 광주전남 총선 판도가 요동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앞서 송 전 대표가 영장실질심사 결과 "거액의 불법 정치자금을 수수하고, 당 대표 경선과 관련한 금품수수에 관여한 점이 소명되는 등 사안이 무겁고, 증거인멸 우려도 있다"는 이유로 결국 지난 19일 구속 수감됐다.

송 전 대표의 구속으로 내년 1월부터는 돈봉투를 수수한 것으로 지목되는 민주당 현역 의원 20여 명에 대한 줄소환이 이어지는 등 검찰의 수사가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돈봉투 수수 의혹으로 거론되는 광주전남 4명의 현역 의원이 검찰에 소환돼 조사받으면 치열한 공천 경쟁이 벌어지는 상황에서 민주당 공천 판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낙연 신당 등 제3 지대 돌풍 vs 찻잔 속 태풍

이낙연·이준석 등 전직 대표들의 신창 창당 등 이른바 '제3 지대'가 흥행 돌풍을 일으킬지 찻잔 속 태풍에 그칠지도 관심사다.

광주전남에서는 이낙연 신당에 대해 부정적 기류가 높고 민주당 내에서도 호응이 없어 아직은 이낙연 신당의 한계가 뚜렷해 보인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하지만, 다른 세력과 연합한 '빅 텐트(초당파 연합)'의 크기에 따라 바람의 세기는 달라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이 전 대표가 이미 신당을 꾸린 금태섭 전 의원, 양향자 의원과 손을 잡거나 한발 더 나아가 이준석 전 대표와 연대하는 시나리오까지 거론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여권이 유승민 전 의원 연대설까지 고개를 들면서 '제3지대 확장' 가능성을 키우고 있다.

이럴 경우 내년 1월 말께 민주당 경선에서 컷오프된 광주전남 정치인들이 이낙연 신당을 비롯한 제3 지대로 이동해 총선에 출마한다면 민주당에 실망한 유권자들의 표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지역구 의석을 얻기 어려운 신당의 국회 진입 가능성을 높이는 현행 준연동형 비례대표지 대신 과거 병립형 비례대표제 이른바 거대 여야의 위성정당이 출현하는 '게임의 룰'이 정해지면 신당의 파급력이 위축될 수 있다.

지난 2016년 20대 '국민의당"처럼 제3 지대가 돌풍의 핵으로 부상할지 미풍에 그칠지 내년 총선의 또 다른 관전포인트로 부상하고 있다.

올드보이 및 중견 신예 성적표

내년 총선에서 이른바 올드보이들이 얼마나 금배지를 달지도 관심사다.

7선에 도전했던 광주 서구을의 민주당 천정배 전 법무부장관은 지난 22일 총선 불출마를 선언했으나 해남·완도·진도에서 출마하는 올해 81세의 같은 당 박지원 전 국가정보원장은 광주전남에서 등록한 예비 후보 가운데 최고령이다. 박 전 원장은 올드보이로 지칭되는 데 대해 "자신인 스마트 보이, 스토롱 보이"다며 "정당은 노·장·청으로 조화를 이루면서 실용적으로 구성돼야 한다"고 맞받아치고 있다.

광주 동구남구을 선거구에서는 지난 2004년 17대 총선에 당선돼 국회의원을 지낸 올해 73세인 양형일 전 조선대 총장도 예비 후보 등록을 마치고 재기를 노리며 표밭을 누비고 있다

18, 19대 재선 의원과 함께 민선 7기 광주시장을 역임한 이용섭 전 장관도 신당에 관심을 보이며 내년 총선에서 광주에 도전장을 내밀지 고민하고 있다.

이처럼 정치 올드보이들이 내년 총선을 앞두고 지명도와 인지도를 앞세워 여의도에 재귀환을 위한 '권토중래'를 꿈꾸고 있어 어떤 성적표를 낼지 주목되고 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이들 전직 의원에 대해 '구시대 정치인'이라는 이미지와 겹쳐 오히려 '염증'을 느끼게 해 유권자들로부터  외면받을 수도 있다는 분석도 벌써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이와 함께 광주 동구남구갑의 노형욱 전 국토부 장관과 동구남구을의 안도걸 기획재정부 전 차관, 서구을과 광산갑 선거구에서 각각 출마하는 양부남·박균택 전 고검장 등 중견 신예들도 얼마나 금배지를 달지도 관심을 끌고 있다.

국민의힘 교두보 및 진보신당 약진 여부

지난 대선과 지방선거에서 두 자릿수 득표를 했던 국민의힘이 야당 텃밭인 광주전남에서 지역구 의원을 배출해 교두보를 확보할지와 진보정당의 약진 여부도 또 다른 관전포인트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해 대선 때 국민의힘 윤석열 대통령이 광주에서 12.7%, 전남 11.44%로 역대 보수정당 후보 중 최고 득표를 했다. 지난해 6·1지방선거에서도 국민의힘 주기환 광주시장(15.9%)과 이정현 전남지사(18.8%) 후보가 보수정당 후보로는 광주전남에서 사상 최고 득표율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국민의힘은 이런 여세를 몰아 내년 총선에서 '광주전남에서 최소 1석 이상 당선시킨다'는 전략 아래 18개 선거구에 모두 후보를 낼 계획이다. 특히 분구가 기대되는 순천에서 이정현 전 대표와 천하람 당협위원장의 당선에 기대를 걸고 있다.

지역 정가에서도 국민의힘이 광주전남에서 지역구 의원은 몰라도 비례대표 최소 1명 정도는 배출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내년 총선에서 진보정당의 약진 여부도 관심사다.

정의당은 내부 분열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진보당은 지난 4월 전북 전주을 보궐선거에서 강성희 의원이 당선된 여세를 몰아 광주 7명과 전남 6명이 일찌감치 예비 후보 등록을 마치고 표밭을 누비고 있다.

선거구 획정 '복병'

22대 총선을 1백여 일 앞두고 여야가 합의하지 못한 선거구 획정과 비례대표 선출 방식이 '복병'이 되고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 획정위원회는 기존 순천·광양·곡성·구례갑과 순천·광양·곡성·구례을 두 선거구를 순천시 갑·을 2개와 광양·곡성·구례로 분구했다. 또 무안·신안·영암 선거구를 공중분해 해 목포·신안, 나주·화순·무안, 해남·영암·완도·진도로 통폐합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순천 지역구를 2개로 분구한 것은 순천 지역을 의식한 국민의힘의 지역 공략을 위한 노림수고 도시 지역 선거구를 늘린 반면에 농어촌지역의 선거구를 줄이는 편파적 결정을 했다"며 거세게 반발하면서" 선거구 획정안 재논의"을 요구하고 있다.

선거구 획정 지연으로 예비 등록을 마쳤더라도 정치 신인의 경우 불리할 수밖에 없다.

자신이 어느 선거구에서 선거운동을 해야 하는지 알 수 없어 정견과 공약을 아리는 기회를 제한받을 수밖에 없고 선거일을 코앞에 두고 선거구가 획정되면 새 유권자에게 자신을 알리는 것이 현역 의원에 비해 불리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지난 2020년 21대 총선 때는 선거일을 불과 한 달 남짓 남긴 3월 6일에야 선거구획정안이 국회에서 처리됐고 17대 총선 때는 선거를 37일, 18대 47일, 19대 44일, 20대 42일을 각각 앞두고 선거구 확정을 마쳤다. 비례대표제 개편 여부도 예비 후보자들의 등록과 선거운동 문턱을 높이고 있다. 지역구 예비후보로 등록할지 혹은 비례대표로 도전할지를 여전히 결정하지 못한 정치권 인사가 많은 탓이다.

제3 신당이나 선거연합정당 등이 비례제도 개편 방향에 따라 운명이 달라질 수 있어 예비 후보자나 총선 도전자들의 고민과 혼란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