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프리미엄 폭등에 너도 나도 '가상 튀르키예行'

유튜브부터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티빙까지 '가격 인상'
'인상 요금 부담'에 VPN 우회…저렴한 튀르키예·인도행


인기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인 유튜브를 광고 없이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유튜브 프리미엄' 국내 가격이 한 번에 43%가 오르면서 국내 이용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지난 8일 유튜브는 유튜브 프리미엄의 가격을 기존 1만 450원에서 1만 4900원으로 인상한다고 한국 이용자들에게 공지했다.

유튜브는 "프리미엄 서비스를 개선하고, 크리에이터 및 아티스트들을 지원하기 위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비단 유튜브 뿐 아니라 최근 인기 OTT들이 연이어 가격을 인상하면서 이용자들의 부담도 커지고 있던 터다.

글로벌 OTT 넷플릭스는 광고요금제를 제외하고 가장 저렴한 월 9500원 '베이직 멤버십'의 판매를 중단했다. 기존에 무료로 가능했던 계정 공유도 유료로 바뀌었다.

디즈니플러스는 기존 월 9900원 단일 요금제로 운영하다가 스탠다드(9900원)와 프리미엄(1만 3900원)으로 나누며 사실상 요금을 올렸다. 티빙도 이번달부터 모든 요금을 20%씩 인상해 프리미엄 요금제가 월 1만 3900원에서 1만 7천 원으로 인상됐다.

이처럼 수년간 인터넷 콘텐츠 시장의 대세로 자리잡은 구독제 서비스가 점유율을 확대에서 수익 극대화로 시선을 돌리면서 경제적 부담이 커진 이용자들은 '편법'을 찾기도 한다.

급격히 인상한 요금 부담에 국내 유튜브 프리미엄 이용자들 사이에서는 가상사설망(VPN)을 통해 구독료가 월 2천 원~5천 원 수준으로 저렴한 튀르키예(터키) 등 해외로 계정을 우회하는 방법이 공공연하게 공유되고 있다.

한 인터넷 커뮤니티 이용자는 "대학생들과 사회초년생들에게는 부담이 있을 수 있는 금액"이라며 "유튜브 프리미엄 터키 우회 방법으로 이를 해결한다"고 말했다.

특히 이용자들에서는 유튜브가 다른 국가에 비해 '한국 차별'을 하고 있다는 불만도 나온다.

일본(1만 1780원), 뉴질랜드(1만 3104원), 싱가포르(1만 1028원) 등 소득 수준으로 비교해봐도 한국보다 높거나 큰 차이가 나지 않는 국가보다 유독 한국의 구독료만 비싸게 책정됐다는 지적이다.

또 유튜브는 한국 외 42개 국가에서 가족 요금제를 지원하고 있다. 가족 요금제는 한 가구에 함께 사는 계정 소유자 외 5명의 가족 구성원이 프리미엄 멤버십을 공유하는 서비스인데, 한번 결제시 최대 6명이 이용할 수 있어 혼자 이용하는 것보다 저렴하다.

인도나 튀르키예 등의 경우 가족 요금제를 가입하면 3천 원~5천 원의 가격에 유튜브 프리미엄을 이용할 수 있다. 일본에서도 2만 원 이하에 6인이 이용할 수 있는 가족 요금제가 운영되고 있다. 현재 가족 요금제를 이용할 수 없는 국가는 한국, 베네수엘라, 벨라루스, 슬로베니아, 아이슬란드, 이스라엘 등이다.

구글은 이러한 우회결제 수법은 이용 약관을 위배하는 행위에 해당한다고 보지만, 일각에서는 구글이 한국에서 그동안 조세를 회피해왔다는 이른바 '구글세'에 대해서도 지적한다.

구글세는 해외 IT 기업들이 수조 원대의 매출을 내면서 납부하는 세금은 턱없이 적다는 비판이다. 실제 지난해 한국에서 3449억 원 매출을 기록한 구글이 한국에 낸 법인세는 네이버의 50분의 1 수준인 170억 원에 불과하다.

구글은 한국에서 벌어들인 수익에 정당한 세금은 내지 않는 '편법'을 쓰는데, 이용자들이라고 편법을 쓰지 못할 이유가 있느냐는 반발심과 경제적 부담이 합쳐지면서 이용자들이 '우회 결제' 편법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20대 직장인 김모씨는 "약 1만 5천 원까지 주면서 이용해야 하나 싶다"며 "VPN 우회를 통해서 한 달에 5천 원도 안되는 금액으로 이용할 수 있으니 이용해보는 것이 어떤가 고민하고 있다"고 했다.

직장인 최모(30)씨는 "직장 동료들이 터키나 아르헨티나처럼 요금이 저렴한 국가로 우회해서 사용하더라"며 "월급은 적은데 구독료만 계속 오르니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