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서울의 봄' 누적 관객수가 700만 명을 넘어서면서 '12·12 사태'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영화 배급사 플러스엠엔터테인먼트에 따르면 전날(11일) 기준 '서울의 봄' 관객 동원 700만 명을 넘었다. 개봉 20일만이다.
영화를 본 시민들마다 12·12 사태 당시 상황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다며 놀라움과 분노가 뒤섞인 반응을 보였다.
영화를 관람한 홍모(32)씨는 "전두환이 쿠데타를 했고 최규하가 집권하던 정권을 뒤집었다는 사실은 알고 있었다"며 "하지만 영화에서 정치적인 상황이나 디테일한 묘사가 그려져서 흥미로웠다"고 말했다.
신군부 세력의 군사반란 과정을 생생하게 다룬 묘사를 보니 화가 났다는 반응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20대 A씨는 "영화를 보는 내내 엄청 답답해서 실제로 가슴을 치면서 봤다"며 "정말 당시에 막무가내로 정권을 뺏기도 했구나하는 생각이 들어 많이 놀랐다"고 했다.
특히 20·30대 젊은 세대들의 12·12 사태에 대한 관심이 눈에 띄었다.
이날 부산대학교에는 '아직 오지 않은 봄을 기다리며'라는 제목의 대자보가 붙었다.
작성자는 대자보를 통해 "영화 '서울의봄'을 보며 분노와 슬픔, 답답함 등 여러 감정이 들었다. 그리고 문든 그런 생각이 들었다. 영화의 시간에서부터 벌써 40년이 넘은 지금 우리 사회는 얼마나 바뀌었을까? 저만 드는 생각이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먼저 신군부라는 자들이 하나회라는 사조직을 동원해 권력을 찬탈하려는 그 권력욕에 분노스러웠다. 그 추잡한 권력욕은 그 누구도 아닌 오로지 자신만의 부귀영화를 위한 것이었다"라며 "그리고 이 범죄자들이 제대로 처벌받지 않고 부와 권력을 거머쥐며 살아갔다는 것이 씁쓸하기도 하며 분노가 치밀어 오르기도 한다"라고 적었다.
이처럼 영화 서울의 봄이 흥행가도를 달리면서 12·12 사태 당시 신군부 독재 정권과 그들의 현재 상황에 관심이 쏠린다.
대법원은 1997년 내란·뇌물수수 등 혐의로 전두환에게 무기징역을 선고하고, 2205억 원의 추징금을 선고한 바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추징된 금액은 약 1280억 원으로 전체의 58.2% 수준이다. 추징잔여금은 922억 원에 달하지만, 2021년 11월 전두환이 사망하면서 환수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이처럼 역사적 단죄가 내려졌다고는 하지만, 이들이 군부 독재 시절 남긴 상처는 여전히 아물지 못하고 있다.
영화의 흥행이 이어지며 12·12 사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를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재조명받고 있다.
이날 더불어민주당 유기홍 의원 등 의원 10여명과 5·18민주유공자 유족회 등 관계자들이 전두환의 비자금 회수를 위한 '전두환 추징 3법' 통과를 촉구했다.
유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두환은 대한민국 민주화를 이룰 수 있었던 '서울의 봄'을 군홧발로 무참히 짓밟은 역사의 죄인"이라며 "은닉재산들을 환수하기 위해서는 법사위에 계류돼 있는 '전두환 추징 3법'이 신속히 통과돼야 한다"고 밝혔다.
전두환 추징 3법은 추징금 미납자가 사망한 경우에도 상속 재산에 대해 추징할 수 있도록 하는 형사소송법 개정안으로, 발의된 지 3년째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