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한 쿠데타는 처벌할 수 없다"고 했지만, 법은 민주주의와 민중의 손을 들어줬다. 역사를 잊지 않은 민중에게 미래는 존재했고, 1979년 12월 12일의 일을 '군사반란'으로 기록해 부르고 있다. 그날을 다룬 '서울의 봄'은 12·12 군사반란을 목도하고, 잊지 말자는 것을 영화가 할 수 있는 가장 현명한 방식으로 보여준다.
대한민국을 뒤흔든 10월 26일, 이른바 10·26 사태(1979년 10월 26일 밤 7시 40분경 서울 종로구 궁정동중앙정보부 안가에서 중앙정보부 부장 김재규가 대통령 박정희를 살해한 사건) 이후, 서울에 새로운 바람이 불어온 것도 잠시, 12월 12일 보안사령관 전두광(황정민)이 반란을 일으키고 군내 사조직을 총동원해 최전선 전방부대까지 서울로 불러들인다.
권력에 눈먼 전두광의 반란군과 이에 맞선 수도경비사령관 이태신(정우성)을 비롯한 진압군 사이 일촉즉발의 9시간이 흐른다. 반란군과 진압군, 목숨을 건 두 세력의 팽팽한 대립으로 그날 밤 대한민국 수도 서울에서 가장 치열한 전쟁이 펼쳐진다.
분명한 점은 '극영화'가 다큐멘터리나 보도물이 아닌 이상 '사실 그대로'만을 담아낼 수 없다는 점이다. 그리고 역사가 기록하지 못한 사실과 사실 사이 빈 곳간을 메우는 것은 결국 창작자의 몫이다. 여기서 김성수 감독은 그 빈 곳을 '영화적'으로 잘 메웠고, 그의 야심은 단 한 번도 길을 잃지 않고 마지막까지 뚝심 있게 나아간다. 즉, 역사적 사실을 소재로 한 영화의 모범적인 성취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과 사실 사이 영화적 창작의 순간들을 어느 순간보다도 사실적으로 현실감 있게 만들어 낸 것은 '배우'들이다. 영화는 단순히 영화 속 인물들과 현실의 인물들 사이 교집합을 보여주려 하기보다 역사라는 바탕에서 비롯된 감독의 상상력이 빚어낸 인물들을 영화 안에 존재시킨다. 그리고 이 인물들을 스크린 속에서 생생하고 현실감 있게 숨쉬도록 만든 건 배우들의 호연이다.
이처럼 '서울의 봄'은 연출과 연기, 프로덕션이 조화를 이루며 높은 완성도를 보인다. 삼박자의 시너지 덕분에 관객들은 마치 1979년 12월 12일 그날에 이르기까지 현장과 사람들의 공기를 함께하며 '목도한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 그리고 그날을 함께 목도한다는 것이야말로 '서울의 봄'이 원하는 것이다. 그날의 진실, 민주주의를 향한 열망이 짓밟힌 치욕의 시간 말이다.
또한 '서울의 봄' 속 각종 욕망으로 점철된 인간들, 그에 맞서는 인간들을 통해 마주할 수 있는 건 '신념'과 '정의'다. 저열한 욕망이라 부르는 자신만의 정의와 신념에 빠지거나 혹은 그러한 욕망에 동조하고 묵인하며 타인의 목숨도, 민주주의도 앗아버리는 반란군. 그리고 올곧은 신념과 정의를 지키기 위해 목숨마저 버리는 진압군의 대비가 두드러질 수밖에 없다.
그들을 바라보는 과정에서 지금도 이어지고 있는 1979년 12월 12일 비극의 역사를 묵인할 것인가 혹은 저항할 것인가의 기로에 놓이게 된다.
'목도'라는 말 속에 담긴 또 다른 의미를 살펴보자면, 영화적으로는 영화의 위기라 불리는 요즘 가장 필요하다고 말하는 '영화적 체험'이라 할 수 있다. 영화를 보다 보면 어느 순간 그 시간으로 빠져들어 141분이라는 러닝타임이 지났는지도 모르게 엔딩 크레딧을 마주하게 된다. '서울의 봄'은 몰입과 영화적 체험의 정의를 온몸으로 경험하도록 만든다.
특히나 영화의 시작과 마무리에서 사료를 적절히 사용해 영화의 현장감과 사실적 긴장감을 높인다. '서울의 봄'이 영화적으로 재구성된 '창작물'이라는 것을 알고 봤음에도 마지막 사진 한 장으로 인해 결국 '서울의 봄'이 이야기하고 싶은 끝에는 현실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게 이 모든 것을 목도한 관객 모두가 12·12는 쿠데타이자 전두광은 반란군이라고 증언할 수 있는 역사의 산증인이 된다.
'서울의 봄'의 의미가 바로 여기에 있다. '역사가 스포일러'라는 말이 있듯이 영화 속 전두광의 광적인 웃음 이후 어떻게 민중과 역사의 심판을 받을지 우리는 알고 있다. 권력을 찬탈했다고 해서 그날을 '성공'이라 말할 수 없다는, 그 이후의 역사가 존재함을 알고 있다. 당시 '서울의 봄'은 짓밟혔지만, 다시 일어나서 민주주의를 쟁취했다.
전두광의 웃음과 그들이 승리라 자축한 날이 진정한 승리의 역사가 아님을 알기에 스크린 밖 우리는 흔적도 없는 봄밤의 꿈 같은 전두광과 그 일파의 기념사진을 보며 웃을 수 있는 것이다. 길고 혹독한 겨울이 있을지언정, 봄은 반드시 찾아옴을 알기 때문이다.
141분 상영, 11월 22일 개봉, 12세 관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