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3차 군사정찰위성발사…예고한 10월 넘기나

서해발사장 준비동향 아직 포착되지 않아
이번 주말 넘기면 10월 발사는 연기 가능성 높아

북한이 지난달 31일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새발사장에서 쏜 첫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를 실은 위성운반로켓 '천리마 1형'의 발사 장면을 1일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했다. 이 로켓은 엔진 고장으로 서해에 추락했다.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은 발사 후 2시간 30여분 만에 실패를 공식 인정했다. 연합뉴스

북한의 3차 군사정찰위성 발사가 당초 예고한 10월을 넘길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1,2차 위성 발사의 경우 발사 이틀 전에 국제해사기구와 지역별 항행구역 조정국인 일본에 발시 기간을 통보하고, 그 통보 기간의 첫 날인 5월 31일과 8월 24일에 정찰위성을 쏜 바 있다.
 
1,2차 발사의 전례를 따른다면 늦어도 내일(29일) 중에 발사기간 통보가 되지 않을 경우 10월 발사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위성을 발사하는 동창리 서해발사장 등에서는 사전 준비동향이 아직 포착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변칙적으로 발사 장소를 바꾸는 미사일과 달리 그동안 위성 발사는 철산군에 있는 서해위성발사장에서 해왔고 통상적 사전 징후가 있을 수 있는데 그러한 동향은 아직 없는 것으로 안다"는 것이 통일부 당국자의 설명이다.
 
물론 북한이 액체연료 기반의 ICBM을 쏘듯이 한다면 대외적인 통보 없이 하루 안에라도 연료 주입과 이에 따른 3차 발사를 할 수는 있다.
 
다만 북한이 예고한 날짜에 쫓기 듯 3차 발사에 나서는 모양새를 취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발사를 미룬다면 우선 1,2차 발사에서 발생한 오류에 대해 아직 충분한 대안을 찾지 못했을 수 있다. 
 
그런데 북한은 지난 8월 2차 위성 발사의 경우 "3계단 비행 중 비상폭발체계에 오류가 발생해 실패했다"고 설명하면서, '큰 문제'는 아니라고 밝힌 바 있다. 
 
따라서 '큰 문제'는 아니라고 했던 만큼, 오류나 결함 부분보다는 다른 이유가 더 크게 작용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이와 관련해 흔히 거론되는 것이 러시아와의 위성분야 기술협력 가능성이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지난 달 첨단우주기술이 집중된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진 바 있고, 이후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의 방북 등으로 다양한 협력방안을 마련한 바 있다.
 
이에 북한은 러시아와의 위성분야 기술협력이나 자문을 통해 완성도를 높이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북한의 대외매체인 조선중앙통신은 당 창건 기념일인 지난 10일 오전 시간대에 '중요 보도 있음'을 짧게 예고했다가 관련 소식을 전하지 않은 적이 있다. 일각에서는 이때의 해프닝이 10월 중 위성 발사 예고와 관련된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