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 꺼진 세탁기가 '펑'…강화유리 문 산산조각

구입 한 달 지난 제품, 작동 안한 상태서 유리문 깨져
"저절로 깨지는 자파현상, 강화유리에서 드물게 발생"

세탁기 문 안쪽 유리가 저절로 깨지며 산산조각이 났다. 연합뉴스

구입한 지 한 달 정도 된 세탁기 유리문이 저절로 깨지며 산산조각 나는 사고가 발생했다.

부산에 사는 A씨는 지난 19일 오전 방에서 쉬던 중 '펑'하며 유리가 깨지는 소리를 들었다.

집안 곳곳을 둘러봐도 깨진 물건을 찾지 못했던 A씨는 다른 집에서 난 소리인 줄 알고 지나쳤고, 이후 빨래하려고 다용도실에 나갔다가 깜짝 놀랐다.

전원이 꺼져있던 세탁기의 문 안쪽 강화유리가 깨져 산산조각 나 있었기 때문이다.

유리문이 깨진 제품은 세탁기 위에 건조기가 일체형으로 붙어있는 LG전자의 '워시타워'로, 지난 6월 13일 배송받은 것이었다.

A씨는 "작동하지도 않은 세탁기 유리문이 이렇게 산산조각 날 수 있을 거라고는 생각 못 했다"면서 "당시 근처에 누군가 있었다면 다칠 뻔했다"고 가슴을 쓸어내렸다.

사고 다음 날인 20일 A씨의 집을 방문한 LG전자 서비스센터 측은 유리문이 깨진 세탁기를 새 제품으로 교환해주기로 했다.

회사 측은 아무런 충격이 없는 상태에서 유리가 저절로 깨졌다면 강화유리에서 드물게 발생하는 '자파현상'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회사 관계자는 "지퍼 같은 금속 소재가 유리문을 때리면서 흠집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런 흠집에 열이나 충격이 누적되면 간혹 강화유리가 저절로 깨질 수 있다"면서 "오븐의 유리문, 냉장고 선반, 자동차 선루프 등 강화유리를 사용한 여러 타사 제품에서도 이런 자파 사례를 찾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문 안쪽 강화유리가 깨진 세탁기. 연합뉴스

강화유리는 판유리를 고온으로 가열했다가 빠르게 식히는 과정 등을 통해 강도를 높인 유리다. 제조과정에 불순물이 들어가거나 강화공정에서 유리 내부 응력이 불균일하게 형성되는 경우, 사용 중 생긴 흠집으로 균열이 생기는 경우 등에는 이렇게 저절로 깨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한다.

문제는 최근 강화유리가 냉장고, 세탁기 등 생활가전에 널리 쓰이고 있지만, 이런 '자파 위험'에 대한 안내는 불충분하다는 점이다.

A씨는 "제품 고장이 아닌 안전과 직결된 문제인 만큼 강화유리가 저절로 깨질 가능성이 있다면 제조사가 소비자들에게 이를 고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