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끝작렬]'심리적 G8' 국가에 울린 아침 경보 사이렌

40년 전 공습경보 연상케 한 서울시 재난문자…시민들 가슴 철렁
취약한 안보 절감케 한 계기…강대강 지속되면 사이렌 일상 될 수도

1983년 2월 미그기를 몰고 귀순한 이웅평 대위. 연합뉴스

"공습 경계경보를 발령합니다. 이것은 실제 상황입니다." 1983년 2월 수도권에 요란한 사이렌 경보와 함께 다급한 아나운서의 목소리가 울려 퍼졌다.
 
얼마 뒤 이 소동은 미그기를 몰고 귀순한 이웅평 대위 때문으로 판명됐지만 국민들은 그야 말로 전쟁 1보 직전을 체감하며 가슴이 철렁했다.
 
그로부터 40년이 흐른 31일 아침 서울 시민들은 날카로운 기계음에 실려온 경계경보 발령에 또 다시 화들짝 놀랐다.
 
연합뉴스

이 역시 얼마 뒤에는 서울시의 오발령 탓으로 드러났지만 국민들은 우리의 안보 여건이 얼마나 취약한지 실감하는 계기가 됐다.
 
한 40대 직장인은 "문자가 와서 빨리 대피하라고 했지만 막상 대피할 곳도 없고 뭘 해야 할지도 모르겠더라"고 혀를 찼다. 
 
야당에선 '국가적 보이스피싱' '아마추어 정권' '공포 분위기 조성' '전쟁 마케팅' 같은 비난이 쏟아져 나왔다. 
 
정부는 서울시와 행정안전부가 엇박자를 낸 것도 모자라 서로 탓까지 하고 있으니 고개를 들 수 없게 됐다.
 

서울시 주장처럼 안전에는 오히려 과잉대응이 낫다고 해도, 그렇다면 재난문자가 경계경보 발령 후 9분 지나서야 도달한 사실은 설명하지 못한다.
 
북한은 과거에도 그랬듯 서해상으로 '우주 발사체'를 쏠 것이라 사전 예고했고 잔해물 낙하 예상 지점까지 밝혔다. 서울시가 과잉대응 정도로 퉁칠 수 있는지 의문이 드는 이유다.
 
만약 과잉대응이 옳았다면 서해와 인접한 경기도나 충청남도 등은 뭐가 되나. 직무를 유기한 셈이다. 
 
하지만 이번 경계경보 소동의 진짜 교훈은 위태로운 안보 현실에 대한 자각이다. 윤석열 정부가 대북 강경 일변도를 고수하는 한 북한의 도발 위협은 계속 커지고 공습 사이렌은 일상이 될지도 모른다. 
 
정부는 미국과 '사실상 핵 공유'를 했다며 국민을 안심 시키려 하지만, 9분이나 늦은 경계경보 문자만 보더라도 신뢰가 많이 깎였다.
 

31일 아침 서울의 수많은 아파트 숲에서 북한의 대대적 공습 악몽을 잠시나마 떠올렸을 시민들의 당혹감은 잘 씻기지 않을 것 같다.
 
싸워 이기는 것은 하책이고,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은 중책이며, 아예 싸울 필요가 없게 하는 게 최상책이다. 전쟁은 국가의 최고 중대사이기에 승패를 떠나 큰 피해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40년 전 냉전시대도 아닌데 공습 사이렌이 울려 퍼지는 수도 서울은 정부‧여당이 말하는 '심리적 G8 국가' 이미지와도 거리가 한참 멀다. 
 
언필칭 '글로벌 중추 국가'를 지향하는 나라가 같은 민족인 인접 국가 하나를 안정적으로 관리하지 못하는 것도 참 이율배반적이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