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과 지난해 하반기까지 이어진 금리 상승 여파로 시중은행 연체율이 빠르게 오르고 있다.
최근에는 기업대출에 이어 가계대출 연체율까지 상승하면서 은행들은 부실 대출 채권 매각 등 리스크 관리에 나섰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4월 말 기준 원화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은 평균 0.304%로 나타났다.
지난 3월 0.272%보다 0.032%p 급등한 것은 물론, 지난해 같은 달 0.186%과 비교하면 0.118%p나 높은 수준이다.
대출 주체별로 살펴보면 가계(0.270%)와 기업(0.328%) 연체율이 한 달 사이 각 0.032%p, 0.034%p 올랐다. 1년 전보다는 각각 0.116%p, 0.118%p 상승했다.
4월 5대 은행의 신규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NPL·부실 대출채권)비율도 일제히 상승했다.
신규 연체율은 해당월 신규 연체 발생액을 전월 말 대출잔액으로 나눈 것인데, 새로운 부실 증감 추이를 보여주는 지표로 사용된다.
신규 연체율은 평균 0.082%로, 올해 3월과 작년 4월보다 각 0.008%p, 0.04%p 높아졌다. 고정이하여신 비율(0.250%)도 0.008%p, 0.016%p씩 올랐다.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소상공인 등 중소기업에 이어 가계대출 연체율 오름세가 뚜렷해지는 점도 부담이다.
은행보다 상대적으로 부실 대출에 더 취약한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의 연체율 상황도 심각하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저축은행업계의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5.1%로 지난해 말(4.04%)보다 1.1%p나 급등했다.
해당 비율이 5%를 넘어선 것은 연말 기준으로 2018년(5.05%) 이후 처음이다.
저축은행업계의 올해 1분기 연체율도 5.1%로 잠정 집계됐다. 5%를 웃도는 연체율은 2016년 말(5.83%) 이후 약 6년여만에 처음이다.
금융권에서는 금리 급등과 수출 감소에 따른 경기 침체 영향으로 중·저신용자 차주들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상승한 것으로 보고 있다.
금리 상승기 무리하게 집을 사거나 주식에 투자한 '영끌족'(영혼까지 끌어모아 투자)이나, 코로나19 기간에 운영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가계대출까지 끌어 쓴 소상공인들이 속속 한계 상황에 봉착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고금리 상황이 소비와 투자, 주택가격 등에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시간이 짧게는 반년에서 길게는 1년까지 걸린다는 점에서 올 하반기 연체율은 더욱 높아질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