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II)가 다음달 24일 발사를 앞둔 가운데 '한미(韓美) 우주동맹'이 우주산업 발전의 지렛대가 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일각에선 우주항공 분야 핵심 기술 이전에 인색했던 미국의 선례를 감안하면 최대한 독자 기술 능력을 성장시킨 후 협업을 도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8일 과기부와 항공우주업계 등에 따르면 우리나라 독자 기술로 개발한 발사체 누리호는 3차 발사를 앞두고 마지막 상황을 점검 중이다. 실험 성격이 강했던 1‧2차 발사 때와는 달리 이번 3차 발사에서는 실용위성 8기를 싣고 우주로 향한다.
누리호에 실려 지구 대기권을 벗어날 예정인 실용위성 8기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천문연구원, 민간 기업 등에서 개발한 위성들로 채워졌다. 주 탑재 위성인 차세대 소형위성 2호 1기와 한국천문연구원의 도요샛 4기, 민간기업에서 제공한 져스텍·루미르·카이로스페이스 위성 3기 등이다.
우주항공 선진국에 등극하기 위해선 지구 주변을 도는 '위성 개발'과 해당 위성을 싣고 대기권을 돌파할 수 있는 '발사체' 기술이 필수적이다. 우리나라는 지난 1992년 8월 우리별 1호 위성 개발에 성공하며 우주시대를 열었다.
위성은 30여년 전에 이미 개발에 성공한 반면 발사체는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이번 누리호 3차 발사가 성공할 경우 첫 실용위성 탑재 성공 기록으로 남겠지만, 상용화된 기술로 인정받기 위해선 최소 10차례 이상 발사 성공을 거둬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이 와중에 지난 26일 과기부와 나사(NASA‧미국 항공우주국)가 우주 탐사 협력 관련 공동 성명을 발표하면서 눈길을 끌고 있다. 이종호 과기부 장관과 팜 멜로이 나사 부청장은 현지 시간으로 지난 25일 '우주탐사 및 우주과학 협력을 위한 공동성명서'에 서명했다.
과기부와 나사는 '심우주 네트워크 구축'과 '우주 통신 및 항법', '달 궤도 상 국제적 전초기지 게이트웨이' 등에서 지속적으로 협력하기로 한 것이다. 문제는 우주강국인 미국과 우리나라의 우주항공 분야에서 기술력이 약 20~50년 이상 차이가 난다는 점이다.
특히 미국은 우주항공 분야 기술 이전을 금지하는 내부 조항이 엄격한 탓에 '발사체' 개발 과정에서도 우리나라는 미국으로부터 기술 이전을 받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방효충 카이스트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CBS노컷뉴스와 통화에서 "미국은 자국 내 법령 때문에 우주기술을 다른 나라로 주고 싶어도 줄 수 없는 구조"라며 "협력이라는 게 결국 우리 측에서도 줄 수 있는 게 있을 때 지속가능하다는 측면에서 우리도 독자 기술 개발에 전폭적인 투자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해 말 윤석열 대통령은 '미래 우주경제 로드맵 선포식'에서 "2045년까지 화성에 태극기를 꽂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는 2032년까지 달 착륙, 2045년까지는 화성 착륙 등 목표를 제시한 것이다. 지금부터 10년 안에 달 착륙에 성공하기 위해선 발사체와 유인 우주선 기술 개발 등 험난한 여정이 남아 있는 셈이다.
일각에선 전자공학 분야에서 우리나라가 선진국들에 비해 비교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발사체나 레이저 통신 같은 분야는 정부 주도로 개발을 진행하고, 민간에선 우리 기업들의 강점인 우주 전자기기 분야를 집중하는 게 더 효율적이라는 지적이다.
실제로 미국 역시 초기에는 정부 주도로 항공우주 기술을 개발했지만, 지금은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스페이스 X 등 민간기업들이 우주선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최근 시험 비행에 실패한 스페이스 X의 '스타십(Starship)'은 올해 여름 두 번째 발사 시도를 계획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항공우주업계 관계자는 통화에서 "우주산업도 수익 구조가 생기면 민간 기업들 사이에서 기술 경쟁이 발생할 것"이라며 "미국이 초기 정부 주도로 개발한 인터넷이 이후 민간 기업으로 넘어가서 결국 지금 미국 기업들이 세계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