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농업 인구 44% 급감…'청년 농부' 세대교체 속도낸다

청년후계농·후계농업경영인·취농직불농업인 등 지원

청년 농업인 지원. 창원시청 제공

경상남도가 청년 농부를 집중적으로 육성하며 농촌의 세대교체를 준비하고 있다.

도는 청년의 농촌 유입을 촉진하고자 9개 사업 155억 원을 투입한다고 11일 밝혔다.

경남의 농업 인구는 2020년 기준 25만 9829명으로, 20년 전인 2000년(46만 3855명)과 비교해 44%나 급감했다.

65세 이상 고령화 비율은 2010년 23.6%(10만 9704명)에서 2020년 43.4%로 증가했지만, 20~40세 청년 농업인의 비중은 17.9%(8만 3348명)에서 9.21%(2만 3926명)로 많이 감소하면서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고 있다.

이에 도는 농촌의 고령화 위기를 극복하고자 청년 유입과 안정적 정착을 지원하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우선 청년 후계농 영농정착 지원사업은 농업 직접 경영 3년 이하의 경력이 있는 도내 만 18~40세 미만 청년 농업인에게 월 최대 110만 원의 생활안정 자금을 최장 3년간 지원한다. 최대 5억 원의 창업자금과 농지임대, 영농기술 교육 등도 연계해 추진한다.

지난해까지 610명의 청년 후계농을 선발해 영농 정착을 지원했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약 2배 많은 447명을 선발하는 등 모두 1057명에게 77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만 18세~50세 미만의 후계 농업경영인을 선정해 농지구입과 임차, 시설자금 등 개인당 5억 원까지 국고 융자금을 지원한다. 올해는 107명을 선발해 53억 원을 융자 지원할 계획이다.
 
국비 사업 범위에서 제외된 청년 농업인에게 바우처를 지원하는 청년농업인 취농직불제 사업도 추진한다. 만 40~45세 미만, 독립 영농경력 5년 이하의 소득과 재산이 일정 수준 이하인 농업인에게 1년간 월 100만 원을 지원한다. 올해는 7억 원을 투입해 60명을 지원한다.

영농 취업을 희망하는 청년을 위한 취농인턴제 사업을 진행한다. 농업법인, 선도농가 등에서 영농·경영 비법 등을 전수한다. 청년 인턴 1인당 월 100만 원 한도(월 보수의 50%)로, 연간 최대 1200만 원의 급여를 지원한다.

청년농업인 스마트팜 운영기술 교육. 경남도청 제공

영농 경험이 부족한 청년에게는 시설하우스를 빌려준다. 현재 도내 8개 시군에 17개의 경영실습임대농장이 조성됐고, 올해 스마트 온실 1곳을 추가로 조성 중이다. 독립 경영 3년 이하의 청년에게 3년 동안 주변 시세의 50% 이내로 저렴하게 임대한다.
 
올해 신규 사업으로, 청년 후계농업인에게 농지 임대료를 지원한다. 청년후계농 선발자가 한국농어촌공사 농지은행을 통해 농지를 임차하면 임차 비용의 80% 지원한다. 1인당 최대 500만 원씩 3년간 지원한다.

도는 4억 원을 들여 찾아가는 일대일 맞춤형 상담으로 청년 농업인의 품목별 재배 기술을 교육한다. 경남과학영농인력육성재단 기금을 활용해 네 차례에 걸쳐 390여 명을 대상으로 해외 교육도 계획하고 있다.

스마트팜·과수 분야 선진국가인 네덜란드·이탈리아 해외 연수를 비롯해 해외 전문가를 초빙해 도내 현장에서 배울 기회를 제공한다.

경남도 정연상 농정국장은 "청년 농업인의 다양한 의견을 들어 국·도비 사업이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청년이 떠나지 않고 농촌에 정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