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보통합 추진위원회' 출범…'2025년 유보통합' 본격 논의

연합뉴스

'영유아교육·보육통합 추진위원회' 출범으로 2025년 유보통합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위한 논의가 본격 시작됐다.
 
교육부는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영유아교육·보육통합 추진위원회'(이하 유보통합 추친위) 위원에게 위촉장을 수여하고, 제1차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유보통합 추진위는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을 위원장으로, 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 차관급 정부위원 5명과 유치원·어린이집 관련 기관단체, 교원, 학부모, 학계 전문가 등 민간위원 19명 등 총 25명으로 구성됐다. 교육부 영유아교육·보육통합추진단(이하 유보통합 추진단)은 유아교육계와 영유아보육계의 의견을 균형 있게 수렴하기 위해 각계 대표를 동수로 해 위촉위원을 구성했다고 밝혔다. 
 
유보통합 추진위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새 통합기관으로 전환하는 유보통합의 주요 쟁점을 심의하게 된다. 위원들은 '유보통합 추진 업무계획(안)'과 '유보통합 선도교육청 추진 경과'에 대한 내용을 보고 받고 '유보통합 추진위원회 운영세칙(안)'을 심의했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월 6일 오전 서울 송파구 위례신도시 내 송파 위례 유치원에서 열린 '유보통합' 관련 현장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유보통합 추진단은 유보통합에 대한 합리적이고 현실 가능한 대안 마련을 위해 유아교육·보육 학회 등으로부터 '조직·재정, 교원자격·양성체제 및 교육과정 개선, 통합모델 관련 전문가'를 추천 받아 '연구자문단'을 별도로 구성할 계획이다.
 
유보통합 추진과 관련해 올해는 격차해소를 목표로 유보통합 선도교육청을 운영한다. 올해 하반기부터 운영되는 선도교육청은 유치원과 어린이집 간 교육·돌봄의 격차를 완화하고 교육·돌봄의 질을 높이는 과제를 선제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유치원과 어린이집 통합정보체계도 마련된다. 통합정보공시를 활용해 학부모가 알아보기 쉽게 유치원과 어린이집 결원(입소대기) 정보를 월 단위로 제공한다. 교육청과 지자체의 시의적절한 수급관리를 위해 시군구(혹은 읍면동) 영유아 수 정보를 연계해 월 단위 지역별 수급현황 정보도 제공할 계획이다.
 
또 교육부와 복지부로 나뉘어 있는 조직과 재정 등 관리체계 통합 방안도 올해 수립된다.
 
이주호 부총리는 "유보통합 추진위 출범과 함께 유보통합에 대한 논의를 시작한 것에 대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직접 듣고 정책 수립에 최대한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