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15분도시' 도보 생활권아닌 특수 공간계획 필요

국토부·제주도, '모두를 위한 15분 도시 제주' 공동토론회 열어
"개인형이동장치와 수요응답형 버스 활용한 생활권 설정돼야"

31일 오후 제주웰컴센터에서 '모두를 위한 도시, 15분 도시 제주'를 위한 토론회가 열렸다. 이인 기자

제주에서의 15분 도시는 도보나 자전거 중심의 일상생활권이 아닌 전동킥보드와 수요응답형 버스 등을 활용한 생활권 설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제주도와 국토교통부, 제주연구원이 31일 제주웰컴센터에서 마련한 '모두를 위한 도시, 15분도시 제주' 토론회에서 윤의식 국토부 도시정책과장은 제주의 경우 섬이라는 폐쇄적인 공간과 많은 유동인구 등을 감안한 특수 공간계획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15분 도시 개념에서 말하는 도보와 자전거 중심의 일상생활권은 제주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윤 과장은 서울시가 서울의 여건을 활용해 보행일상권을 구상한 것처럼 제주형 15분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 전문가와 주민들의 충분한 의견을 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서울시는 올해 1월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에서 '보행일상권 조성'을 핵심목표로 정하고 30분 이내 도보로 주거와 일자리, 여가를 모두 누릴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서울 시내를 116개 지역생활권으로 구분하고 62개 지역에서는 지역 실행방안을 이미 수립해 연차별 실행 계획을 마련하고 있다.

윤의식 과장은 제주의 경우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이동장치(PM)와 수요응답형 버스 등 공유 모빌리티나 스마트 솔루션을 활용한 생활권 설정과 생활권간 연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관광도시인 제주는 유출입 인구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만큼 생활인구 기반으로 도시를 계획하기가 좋다며 역동적인 도시계획 수립을 통해 제주의 지역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고 윤 과장은 설명했다.

31일 오후 제주웰컴센터에서 '모두를 위한 도시, 15분 도시 제주'를 위한 토론회가 열렸다. 이인 기자

백진 서울대 교수도 기조강연에서 15분 도시는 시설과 공간구조의 혁신에 대한 열망이 담겨 있다며 제주의 15분 도시는 관광산업을 주도하는 지역의 특색에 맞게 계획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형준 제주대 교수 역시 지속가능한 일상의 필수 기능을 선정하고 그에 따른 필요 시설을 정해야 한다며 서구의 이론을 이식하는 것보다 제주 특성을 고려한 생활권 설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조경애 제주시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사무국장은 15분 도시의 궁극적 목적은 도민 삶의 질 향상이라며 구상 단계부터 도민이 체감하는 방향성이 포함돼야 하고 주민의 자발성과 연대성을 고려한 결과가 도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영훈 제주도정의 핵심공약인 15분 도시 조성은 현재 제주연구원이 기본계획 마련과 시범지역 선정을 위한 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내년부터 오는 2033년까지 10년간 적용될 15분 도시 제주의 밑그림을 그리고 개념과 비전, 제주 생활권 설계, 15분 도시 가이드라인 등이 용역에 담긴다.

또 용역에선 15분 도시 시범지구 4곳이 선정된다. 제주시와 서귀포시에 각각 2군데씩 시범지구를 만드는데 양 행정시의 동지역 2곳, 읍면지역 2곳이 대상지다.

제주도는 내년 1월 용역 최종보고회를 거쳐 관련 조례를 제정하고 가칭 '15분 도시 제주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내년 시범사업 후 2025년 이후 제주형 15분 도시 전면 실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