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에 소득 중 40%는 원리금 상환에 썼다…7명 중 1명은 70% 부어

황진환 기자

가계대출 차주가 소득 중 원리금 상환에 쓰는 돈의 비율 DSR 평균이 40.6%인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차주 7명 중 1명은 원리금 상환에 소득 70% 이상을 쏟아붓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3일 공개한 금융안정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기준 가계대출 차주의 평균 DSR은 40.6%로, 2018년 4분기(40.4%)이후 처음으로 40% 대를 넘었다.

다만 이 기간 동안 대출을 받은 신규차입 차주의 DSR은 17.3%로 DSR 규제 강화 전인 2020년 4분기(23.8%)대비 내려갔다.

전체 DSR 평균을 올린 것은 금리 인상인 셈이다. 기존 대출을 갖고 있는 차주들이 부담 비율이 33.8%에서 38.4%로 높아졌다. 

DSR이 70%를 초과하는 차주, 그러니까 소득의 70%를 빚 갚는 데 쏟아 부어야 하는 차주는 전체의 15.3%, 대출 비중은 41.9%에 다. 소득보다 원리금 상환이 더 많은 차주도 8.9%(대출비중 29.4%)에 달했다.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2021년 소득·지출 대상) 자료를 토대로 차주 기준이 아닌 금융부채 보유 가구의 평균 DSR을 추정한 결과는 29.4%였다.

국제결제은행(BIS)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DSR은 지난해 3분기 기준 13.7%로 호주(14.9%)에 이어 주요국 중 두 번째로 높았고, 코로나19 이후 상승 폭(2019년 말 대비+1.5%포인트)도 가장 컸다.

한은은 가계대출 차주의 DSR 상승에 대해 금융권 관리기준인 40~50% 이내에 DRS가 머물고 있는 만큼, 당장 채무 상환부담 급증이 우려되는 수준이나 가계 전반의 부실 위험이 큰 상황은 아니라고 평가했다.

다만 DSR 비율이 높은 차주의 경우 대출잔액이 많고 다중채무자나 저소득 등 취약차주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 우려되는 지점이다.

한은은 보고서에 DSR 규제 안착을 통해 점진적 가계부채 디레버리징(부채 축소)를 꾸준히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