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근 사망에 '이재명 책임론' 부상…당직개편 카드 고려하나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확대간부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윤창원 기자

체포동의안 이탈표 사태에 이어 측근 사망까지 이어지면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사법리스크가 더 커지고 있다. 이 대표의 사퇴를 주장하는 '비명계(비이재명계)' 목소리도 높아지면서 당 지도부가 당직개편 카드를 쓸 지 주목된다.

비명계 "도의적 책임 져야"…이번주 사법리스크 본격 격화하나


이 대표가 경기지사 재직 당시 초대 비서실장을 지낸 전모씨가 지난 9일 돌연 숨지면서 당 안팎으로 이 대표의 책임론이 불거지고 있다. 체포동의안 표결 당시 당내에서 대규모 이탈표가 발생해 한 차례 사법리스크가 불거졌는데, 전씨 사망으로 더 격화하는 모양새다.

대표적 비명계인 윤영찬 의원은 10일 SNS를 통해 "이 대표가 말한 대로 검찰의 무리한 수사 때문이라면 속히 밝혀야겠지만 이 대표 본인이나 주변에서 고인에게 부담을 주는 일이 있었다면 이 대표가 책임을 져야 한다"며 "도의적 책임을 져야 마땅하다. 그게 인간이고 그게 사람이다"라고 지적했다. 이 대표에 대해 공개적으로 사퇴를 주장한 것으로 해석된다.

숨진 이재명 전 비서실장 발인식·조문 마치고 나오는 이재명 대표. 연합뉴스

이와 함께 김해영 전 민주당 의원도 "이재명 대표와 같은 인물이 민주당의 당대표라는 사실에 당원으로서 한없는 부끄러움과 참담함을 느낀다"며 공개 비판에 나섰다. 김 전 의원은 "한 사람의 생명이 전 지구보다 무겁다는 말이 있다"며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도 당이 이재명 방탄을 이어간다면 민주당은 그 명(命)이 다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같은 비명계 목소리는 이번주 더 커질 가능성이 있다. 오는 14일 비명계 모임인 '민주당의 길'이 3주 만에 공식 토론 일정을 재개한다. 민주당의 길은 체포동의안 표결 이후 불거진 당 내홍을 의식해 공식 행사를 자제해왔다. 이번 공식 토론 주제는 '대통령 선거 1년 이후의 민주당'으로, 이 자리에서 이 대표 책임론도 거론될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는 또 17일에는 자신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재판에 참석할 예정이다.

사퇴 대신 당직개편 고려하나…지도부 "논의된 바 없어"




당 안팎에서 불거지는 책임론에도 이 대표는 사퇴를 결단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 친명계 최고위원 의원은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이 대표에 대한 강한 지지세와 비교할 때 이 대표의 거취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얼마나 되나"라며 "극히 일부가 주장하는 목소리만 듣고 물러나는 건 말이 안 된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오히려 이 대표를 중심으로 뭉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상황에서 거론되는 카드가 지도부 당직개편이다. 비명계 송갑석 의원은 지난 9일 라디오에서 "인사도 메시지다. 모든 당직을 과감히 열어야 한다"며 "'그런 사람까지, 그런 자리까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과감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개편 대상을 두고서는 당내에서 다양한 의견이 나온다. 내년 총선에서 공천 실무를 담당할 사무총장 자리까지 개편해야 하는지, 총선 전략을 논의하는 전략기획위원장 자리만 바꿀지 등 주장이 혼재된 상황이다.

반면 친명계는 '공천을 의식한 노골적인 욕심'이라며 반대하고 있다.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를 명분 삼아 다음 총선에 대비하려는 속셈이라는 주장이다. 민주당 지도부는 공식적인 논의가 없다고 일축했다. 임오경 대변인은 12일 기자들과 만나 "(당직개편에 대해) 전혀 논의된 바 없다"고 선을 그었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