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가 내놓은 일제 강제징용 배상 문제 해법에 대해 외신도 비상한 관심을 나타냈다.
뉴욕타임스는 6일(현지시간) 한국 정부의 이날 발표에 대해 "한국은 일본 기업들에게 더 이상 강제징용 피해자들에 대한 보상을 요구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면서 미국의 촉구에 따라 두 나라의 관계개선이 더 큰 우선순위가 됐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징표라고 해석했다.
이 신문은 한국측 희생자들의 반응과 한국 정부의 배상안이 나오기까지의 과정과 배경 등을 소개했다.
이 신문은 이번 발표에 대해 대니얼 스나이더 스탠퍼드대 국제정책 교수의 분석도 전했다.
스나이더 교수는 "한국이 일본보다 훨씬 더 많이 양보한(given far more) 타협"이라면서 "일본은 최소한의 조치(bare minimum)를 취했다"고 설명했다.
스나이더 교수는 이어 일본 정부는, 한국 피해자들에게 직접적인 배상을 하지 않음으로써 두 나라의 균열을 치유하기 위해 필요한 것을 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일본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그가 쉽게 타결지었어야할 합의에 마지못해 끌려왔다. 그리고 한일간의 진정한 화해를 이끌어내기 위해 꼭 필요한 도덕적 리더십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신문은 윤석열 대통령이 일본과의 관계 개선을 주요 외교 목표로 삼아왔다며 취임 이후 일본 미국과 연합군사훈련을 확대하고, 국민들에게도 일본을 군국주의 침략국이 아닌 협력 파트너로 봐달라고 당부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신문은 국민대 이원덕 교수의 분석도 실었다.
이 교수는 "일본 합의는 역사적 분쟁에서 한국측의 양보"라면서도 "그러나 한국의 외교 전략의 넓은 맥락에서 볼 때 이 것은 한국이 가진 유일한 해결책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또 "분쟁이 길어지더라도 더 나은 해결책을 찾거나 일본으로부터 더 많은 양보를 얻어낼 수 있는 보장은 없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이 교수는 이번 거래(deal)의 하나로 윤 대통령이 일본에 초대받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AFP도 관련 뉴스를 전하면서 역시 전문가들의 분석을 전했다.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 벤자민 엥겔 교수는 "이번 발표의 중요성은 일본이 다음에 무엇을 하느냐에 따라 상당 부분 측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소한 일본 정부의 사과와 일본 두 기업의 기여금이 한국 여론이 이번 거래를 받아들이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것이다.
그는 "일본 측의 이러한 조치가 없다면 한국 정부의 발표는 별 의미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