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정부가 미국 본토 상공에서 표류하던 자국 소속 무인 비행선을 미군이 격추시킨 것은 '명백한 과잉반응'이라고 주장하며 외교라인을 통해 공식적으로 항의하는 등 대응수위를 높여가고 있다.
중국 외교부는 5일 홈페이지를 통해 "셰펑 중국 외교부 부부장(차관)은 5일 중국 민간 무인 비행선에 대한 미군의 공격과 관련하여 중국 정부를 대표해 주중 미국 대사관 관계자에게 엄정한 입장을 표명하라는 명령을 받았다"고 밝혔다.
셰 부부장의 입장 표명 대상이 누군지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지만 주중 미국 대사나 공사 등 대사관 고위관계자를 초치하는 등의 외교적 방식을 동원한 것으로 관측된다.
셰 부부장은 "중국 민간 무인 비행선이 불가항력으로 인한 사고와 사건으로 인해 미국 영공을 넘어갔다"면서 "(이런) 사실은 명백하며 왜곡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미국은 귀를 막고 미국 영공을 떠나려는 민간 비행선에 대해 무차별적인 무력을 사용한 것은 명백히 과잉반응이며 국제법 정신과 국제 관행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미국이 한 일은 (양국 정상간) 발리 회담 이후 중미 관계를 안정시키려는 양측의 노력과 진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손상을 입혔다"면서 "미국이 중국의 이익을 해치는 추가 조치를 취하거나, 긴장을 고조시키고 확대하지 말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셰 부장은 마지막으로 "중국 정부는 상황의 전개를 면밀히 주시하고 있으며 중국 기업의 정당한 권익과 중국의 이익과 존엄을 단호하게 수호할 것"이라며 "더 필요한 대응을 할 권리를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국은 앞서 외교부 성명과 국방부 대변인 발표 등을 통해 미국의 무인 비행선 격추를 비판한데 이어 외교라인을 통해 직접 미국 측에 강하게 공식 항의하는 등 대응 수위를 높여가고 있다.
미국 역시 '민간 연구용 비행선'이라는 중국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해당 비행선을 '정찰 풍선'으로 규정하고 전투기를 동원해 격추하는 한편,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의 방중 계획을 전격 취소하는 등 강경 노선을 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