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오늘 하루 온라인에서 가장 주목 받은 뉴스만 콕콕 짚어봅니다.
어텐션 뉴스, 김동빈 기자 나와 있습니다. 오늘 가져온 소식은 어떤 겁니까?
[기자]
오늘 가져 온 소식은 '난방비 폭탄에 멘붕 빠진 사람들'입니다.
가스비 요금 인상에다 최강 한파로 에너지 수요까지 늘면서 '난방비 폭탄'이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맘카페를 중심으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지난해 12월분 관리비 고지서를 받아든 사람들의 아우성이 커지고 있는데요.
'아끼고 아꼈는데 난방비는 두 배가까이 뛰었다'는 겁니다.
난방비가 오르면서 관리비가 전용면적 84㎡기준 1년 전 두 배에 가까운 40만원을 훌쩍 넘겼다는 반응도 있었습니다.
저는 1인 가구인데, 확인해 보니까 가스비 이번달 고지 금액이 지난달에 비해 3배 올랐더라구요.
[앵커]
이렇게 난방비가 많이 오른 이유가 뭔가요?
[기자]
난방비가 오른 이유, 당연하겠지만 크게 두 가지 입니다.
하나는 추워졌기 때문이고요.
여기에 따라 난방을 많이 해야하는데, 난방비가 오른 겁니다.
역대급 한파의 원인으로 북극 냉기의 남하를 꼽는데요.
북극 냉기는 보통은 제트 기류라고 하는 기류에 갇혀 있습니다.
그런데 이게 지구 온난화 등 기후변화 영향으로 제트기류가 느려지면서 그 틈으로 냉기가 빠져 나오면서 역대급 강추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역대급 한파가 자주 찾아올 여지가 커진 겁니다.
여기에 에너지 가격 상승이 난방비 상승을 부추긴 건데요.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국제에너지 가격 상승이 되고 이게 지난해 12월 난방비에 영향을 준 겁니다.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가격은 도시가스 비용과 연동이 되거든요.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국제 LNG 가격은 2021년 12월 t(톤)당 892달러에서 작년 12월 1255달러로 40% 올랐습니다.
지난해 국내 LNG 수입액은 567억달러(약 70조원)로, 종전 최대치였던 2014년 수입액(366억달러)을 뛰어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해 최근 일년간 도시가스와 열(온수·난방) 요금은 각각 38.4%, 37.8% 올랐습니다.
문제는 도시가스 요금이 향후 더 오를 가능성이 크다는 점입니다.
정부가 올해 1분기 가스요금을 동결했는데, 2분기부터는 가스요금 인상을 검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앵커]
이렇게 요금이 올랐는데, 사실 돈 있는 분들이야 그렇다 치지만 서민들 특히 취약계층에 경우 더욱 절박해질 수밖에 없잖아요.
[기자]
네 맞습니다.
그래서 '국가가 나서야 하는 것 아니냐' 하는 불만이 터져나오는 상황이고, 정치권도 이에 따라 시끄러워진 이유입니다.
오늘 정치권은 '난방비 전쟁'을 벌였는데요.
하지만 '남탓 공방'에 그치진 않을까 걱정이 됩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정부가 서민 고통을 외면하고 있다고 정부 여당에 공세를 폈습니다.
그러면서 "정부가 지원하는 소액 에너지바우처 예산이 있지만 이번에 늘려 취약 계층의 난방비를 지원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정부가 '빨리 취약계층 보호에 나서야 한다, 우리가 주장하는 추경을 서두르자' 이렇게 공세를 편 겁니다.
그런데 여당의 반응도 남탓에 그쳤습니다.
성일종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24일 "직전 문재인 정부에서 2~3배가량 가스 가격이 오를 때 가스비를 13%만 인상해서 적자가 9조까지 늘어나는 등 모든 부담이 윤정부에게 돌아왔다"고 말했습니다.
유력한 당권 주자로 꼽히는 국민의힘 김기현 의원도 SNS에 "모든 부담이 윤석열 정부의 몫이 됐다"면서 "멀쩡한 원전을 폐기해 전기료 인상 요인을 만들어 놓고 윤석열 정부에 부담을 전가시켰다"고 반박했습니다.
앞으로 한파도 자주오고, 난방비 상승도 피할 수 없는 상황인데 정치권에만 오면 이렇게 논란이 사라져버리니 안타깝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