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 우리나라 민간부채가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2.24배에 달했다. 금리 인상이 가속화할 경우 가계와 기업의 이자 부담이 빠르게 늘며 향후 금융 부실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국은행이 22일 발간한 '2022년 12월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9월 말 기준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민간신용 비율은 223.7%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11분기 연속 200%대 행진을 이어가면서 사상 최고치를 다시 한 번 갈아 치운 것이다. 민간신용 비율이 높다는 것은 민간이 갚아야 하는 빚이 경제 체력에 비해 지나치게 높다는 뜻이다.
특히 기업 빚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같은 기간 기업신용 비율은 115.3%에서 118.5%로 3.2%포인트나 높아졌다. 반면 가계신용 비율은 105.2%로 0.3%포인트 하락했다.
단기자금시장 경색 여파도 여실히 드러났다. 한은은 "자본시장 불확실성에 따른 회사채와 CP발행 여건 악화, 환율 및 원자재가격 상승으로 인한 자금수요 증대 등으로 늘었다"며 "회사채는 한전채와 은행채의 기업 신용채권 수요 구축과 높은 신용경계감 등으로 순상환됐으며 CP는 순발행 규모가 축소됐다"고 분석했다.
회사채 및 기업어음(CP) 발행 여건 악화, 환율 및 원자재가격 상승으로 인한 자금 수요 증대 등으로 인해 올 3분기 말 기업대출은 1722조9000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15% 증가했다. 가계부채는 올 3분기 말 1870조6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에 그쳤다.
부동산 금융 위험 노출액은 지난 9월 말 현재, 명목 GDP의 125.9%에 달하는 2696조6000억 원을 기록했다. 이 중 부동산 기업금융은 1074조4000억 원을 차지했는데, 전년 동기 대비 17.3%나 증가했다.
대외 충격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비(非)은행 계열 금융권의 동반 부실 우려도 커졌다. 비은행권의 기업대출은 2017년만 해도 100조 원을 밑돌았으나 올 9월 현재 250조6000억 원으로 증가했다.
한은은 내년 상반기에 다시 한 번 유동성 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PF 유동화 증권 상당수의 만기가 올 12월부터 내년 6월 사이에 돌아오기 떄문이다. 한은은 내부 스트레스 테스트에서 주택 가격이 향후 3년간 30% 하락하면 자본비율 규제 기준을 밑도는 금융사가 크게 늘 수 있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