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대학이 주도하는 2개 연구팀이 과기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2022년 기초연구실 지원사업(Basic Research Lab)'에 최종 선정됐다
'적외선 편광 발광 소재 연구실'과 '인간행동 줄기정보 기반의 디지털 인간복제 혁신보조공학 연구실(HD-DNA Lab)'이다. 이 연구실은 한국연구재단으로부터 2025년 2월까지 각각 13억7500만 원을 지원받아 연구 과제를 수행한다.
영남대 화학생화학과 김영수 교수가 연구책임을 맡고 있는 '적외선 편광 발광 소재 연구실'은 영남대 화학생화학과 윤영상 교수와 물리학과 곽진석 교수, 경상국립대 화학교육과 김병선 교수가 연구에 참여한다.
주요 과제는 적외선 편광 발광 유·무기 소재를 개발하는 것으로, 적외선 편광 발광 소재에 대한 기초연구와 실용화 가능 소재 개발이다.
김영수 교수는 "이러한 소재를 자율주행차량에 탑재하는 라이다(LIDAR) 기술 또는 암호 디스플레이 등에 응용하면 보다 안전한 자율주행이 가능하고, 암호 기능이 향상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어 사생활 보호 기능이 향상되는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응용할 수 있다"고 했다.
영남대 로봇공학과 최정수 교수가 이끄는 '인간행동 줄기정보 기반의 디지털 인간복제 혁신보조공학 연구실(HD-DNA Lab)'은 영남대 로봇공학과 이찬 교수와 인하대 컴퓨터공학과 최동완 교수, 전기공학과 조영근 교수가 참여한다.
연구실은 줄기정보를 추출하고 배양해, 이를 로봇에 이식하고 성장시키는 새로운 개념의 '디지털 인간복제 혁신보조공학 기술'을 연구한다.
최정수 교수는 "올해 직진평지 보행을 위한 디지털 인간복제 혁신보조공학 기술 개발을 시작으로 6대 대표 일상생활환경과 범용 일상생활환경을 대상으로 연구 영역을 단계적으로 확장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