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민주화운동 민간인 학살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진상조사위 민간인 학살 미완의 진실 밝혀야
발포명령자 등 산적한 현안에 밀려 공론화되지 못해
5·18 민간인 학살에 대한 정부 차원 기록 생산해야
역사의 기억 새길 추모 공간 조성 목소리도 나와

▶ 글 싣는 순서
①핏빛으로 물들고 고문 소리 진동한 1980년 5월 전남대 캠퍼스의 진실
②'5·18 민간인 학살 추가 사망자 확인' 국군통합병원 확보 작전 진실은?
③"우리가 두 눈 뜨고 지켜봤는데 민간인 학살 왜곡 축소하다니"
④5·18민주화운동 민간인 학살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계속)
5·18 당시 시민들을 무차별적으로 진압하고 있는 계엄군. 5·18기념재단 제공

5·18민주화운동이 일어난지 어느덧 42주년.

망월동 묘지는 지난 2002년 국립묘지로 격상됐고, 사태로 불렸던 5·18은 대표적 민주화운동으로 교과서에 실리게 됐다.

5·18 당시 계엄군에 의해 자행된 민간인 집단학살에 대한 피해자 가족과 시민들의 증언은
꾸준히 나왔지만 지금까지도 진실은 제대로 규명되지 않았다.

그동안 발포명령자와 암매장 문제 등 산적한 현안에 밀려 공론화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12일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이하 5·18진상조사위) 등에 따르면 현재까지 파악된 5·18 민간인 집단학살은 전남대 일원, 송암동효천역 일원, 주남마을 사건 등 최소 6건에 이른다.

5·18진상조사위는 시민들의 죽음에 대한 진실 규명을 위해 민간인 학살에 대한 조사를 이어가고 있다.

계엄군이 5·18 당시 민간인 학살 사건을 축소 은폐하기 위해 희생자들을 암매장하거나 화장했을 가능성이 높은 만큼 민간인 학살의 진실이 하나 둘 드러날 경우 행방불명자 소재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수 있다.

5·18부상자회 황일봉 회장은 "미완의 5·18 문제 가운데 피해자 가족들을 가장 아프게 하는 것은 행불자와 암매장과 관련된 문제"라며 "행불자와 특히 암매장 된 시신을 찾는 것이 5·18 진상규명의 가장 핵심적인 문제"라고 말했다. 이어 "5·18진상조사위가 철저히 파헤쳐서 미완의 진실을 밝혀야 한다"고 덧붙였다.

5·18 당시 광주시민을 강제 연행하는 계엄군들. 5·18기념재단 제공
그동안 민간인 학살과 관련해서는 5·18민주화운동 관련자 보상 등에 관한 법률(이하 5·18보상법)에 따라 7차례에 걸쳐 진행한 광주시의 피해자 보상신고에 겨우 의존해 왔다.

광주시는 5·18보상법에 따라 시민들의 피해사실을 인정했지만 개인정보 등을 이유로 피해장소 등 구체적인 피해 규모를 체계적으로 분리하지는 않았다.

5·18 전문가들은 민간인 학살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통해 보다 세밀한 분류, 정부 차원의 기록 생산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5·18기념재단 이재의 연구위원은 "미완의 과제인 민간인 학살 희생자에 대한보다 체계적인 조사가 필요하다"며 "유공자 인정을 받은 사람들을 사망자와 부상자를 나눠 재소사를 해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5·18 민간인 학살 사건 현장에 희생자들을 기릴 수 있는 추모공간을 조성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