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6G 주파수 백서'를 내고 차세대 통신 6G 서비스용 주파수 확보를 위한
글로벌 연구를 제안했다. 삼성전자는 세계 최초로 5G 상용화에 성공한 데 이어 6G 분야에서도 글로벌 표준화와 기술 생태계 구축을 주도하며 차세대 이동통신 경쟁에서 우위를 지켜간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8일 삼성리서치(SR) 홈페이지에 '6G 주파수 백서: 주파수 영역의 확장'을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앞서 지난 2020년 7월 발간한 '6G 백서'를 통헤 '새로운 차원의 초연결 경험(The Next Hyper-Connected Experience for All.)'이라는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 비전을 제시한 데 이어, 이번 백서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주파수 확보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홀로그램, XR(확장현실) 등 6G 초고속 대용량 서비스들을 실현하기 위한 후보 주파수 대역을 발굴하고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통신 발전 사례상 약 10년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6g 주파수에 대한 글로벌 차원의 논의와 연구 등 선제적인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설명이다.
삼성전자는 이런 서비스를 위해 수백 ㎒에서 수십 ㎓에 이르는 초광대역폭의 연속적인 주파수가 필요할 것으로 보고 모든 가능한 대역을 고려하는 것과 함께 6G 상용화 시점에도 5G 망이 함께 운영되고 있을 것을 감안해 6G를 위한 별도의 신규 대역을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6G와 관련된 핵심 후보 기술에 대한 연구 성과도 이날 공개했다.
관련 기술은 △테라헤르츠 밴드 통신(sub-㎔) △재구성 가능한 지능형 표면(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RIS) △교차분할 이중화(Cross Division Duplex, XDD) △전이중 통신(Full Duplex) △인공지능(AI) 기반 비선형성 보정(AI-NC) △AI 기반 에너지 절약(AI-ES) 등이다.
테라헤르츠 대역은 1Tbps(1초에 1조 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속도)를 목표로 하는 6G 통신의 후보 주파수 대역 중 하나다. 또 RIS는 메타물질(자연에서 발견되지 않은 특성을 가지도록 설계된 물질)을 이용해 무선신호를 원하는 방향으로 투과 혹은 반사시켜 전송 성능을 개선하는 기술이다.
XDD는 단말 송신신호의 도달 거리를 최대 2배 개선하는 기술이며, 전이중 통신은 전송속도를 최대 2배 증가시키는 방식이다.
이밖에 AI 기술을 활용한 AI-NC와 AI-ES는 각각 통신 품질 향상과 기지국 전력소모 최소화를 위한 연구 성과로 소개됐다.
삼성전자는 오는 13일 '제1회 삼성 6G 포럼'을 열어 6G 연구 성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공개할 예정이다. 삼성전자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되며 포럼 당일까지 홈페이지에서 신청하면 참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