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후배 장교 D씨는 숨진 A중령과 잘 아는 사이였다고 하는데, 군 내부의 구조적 문제까지 폭로하고 나서 파문이 일 전망이다.
앞서 군 당국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해군 해양과학수사센터장 겸 5광역수사대장 A중령이 기지 내 샤워실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A중령은 광역수사대장 자리에 있던 대령(진) 1명이 지난 3월 다른 보직으로 옮기면서 이를 겸직, 지난 2월 퇴역한 참수리 고속정에서 45구경 권총 3정이 분실된 사건 수사를 맡게 됐다.
사무실에서는 그가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 유서가 나왔는데 "너무 힘들다. 버틸 힘이 없다…누구 때문에 내가 이러는지, 병과장이 나를 이렇게 만들었나"며 "진급, 보직, 인생 이런 것들이 나를…겸직 이후 하루하루가 너무 힘들었다. 나를 힘들게 한 사람은 기억하고 싶지 않다"고 토로했다.
여기에서 '나를 힘들게 한 사람', '병과장'은 그의 상관인 수사단장 C대령을 뜻한다고 고인 아내 B씨는 CBS노컷뉴스 취재진에게 주장했다. 이번엔 후배 장교까지 비슷한 주장을 하고 나선 셈이다.
후배 장교 D씨는 CBS노컷뉴스 취재진과 접촉해 "권총 분실 사건은 전임 5광역수사대장이었던 E대령(진)이 초동수사를 맡았지만, 진해기지사령부 기지방어전대장이었던 다른 대령이 조기에 전역하게 되면서 E대령(진)이 여기로 가게 돼 광수대장 자리가 공석이 됐다"며 "김정수 해군참모총장은 새로 광수대장을 내려보내라고 지시했지만 수사단장이 참모총장에게 중령 인원이 부족하다며 고인이 겸직하도록 건의해 이를 승인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고인은 '보낼 인원이 없었던 것이 아니라 권총 분실 사건이 장기화되고 미제 사건이 될 가능성이 높아지자 이에 대한 책임을 지게 해 진급이 되지 않게 할 목적으로 이렇게 한 것 같다'고 가족과 동료들에게 털어놨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다만 해군은 "군사경찰 병과에서 중령 직위는 10여개인데, 국방부 조사본부에 파견나간 인원까지 생각하면 인원이 모자라는 일 자체는 사실"이라며 "해양과학수사센터와 5광역수사대는 같은 건물을 쓰고 있고, 바다와 해군에서 벌어진 범죄를 수사한다는 특성상 서로 연계가 있어 그렇게 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광수대장 겸직 뒤 고인이 더욱 힘들어했다는 것이 D씨 주장이다. 그는 "진척이 없자 수사단장은 3~4월 사이 수시로 고인을 질책했다"며 "폭언·폭행이 아니라, 현장방문 때 경례를 받아주지 않거나 전임 광수대장과 함께 셋이 있는 자리에서 '이야기할 것이 있으니 너(고인)는 나가 있으라'는 식이었다. 해당 장소는 바로 고인의 사무실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수시로 전화해 수사 진행 사항에 대해 질문하던 중 마음에 들지 않으면 전화를 끊고, 측근들에겐 고인이 무능력하다고 은연중에 표출하는 것들에 대해 극심한 심적 압박감을 느낀다고 A중령이 생전에 호소했었다"고도 말했다.
D씨는 "권총 분실 사건 수사는 전임 광역수사대장 E대령(진)이 초동수사를 맡았는데, 최초 용의자 선정을 비롯, 분실한 시기조차 특정하지 못해 수사가 장기화됐고 현재까지도 특별히 진척이 없다"며 "초동수사를 제대로 하지 못한 E대령의 치부를 고인을 통해 감추려고 했다고밖에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E대령(진)은 수사단장 최측근으로 분류되는데, C대령이 새 병과장으로 온 뒤 이른바 '보직관리'를 시켜줘 지난해 대령으로 진급하게 됐다"며 "고인은 이로 인해 지난 2년간 인사 불이익을 받았는데, 병과장의 보직 추천권 때문에 그러한 일이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해군 군사경찰 병과는 장교가 100명 남짓밖에 안 되는 자그마한 규모로 알려졌다.
이는 고인의 아내 B씨도 비슷하게 이야기했던 사항이다. A중령은 2020년 12월 3함대 군사경찰대대장 자리를 떠나 해군교육사령부 기초군사교육단 신병교육대대장을 맡게 됐는데, 이 자리는 민간인을 해군 수병으로 만드는 자리인 만큼 보통은 '배'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함정 병과에서 맡기 때문이다. 군사경찰이 보임되는 일은 상당히 이례적이다.
B씨는 "신병교육대대장 자리는 군사경찰에서는 어느 누구도 선호하지 않고, 누구도 해본 적이 없었는데 수사단장이 진급 대상자였던 남편을 이 자리로 보냈다"며 "지난해 말엔 (신병교육대대장을) 2년 연속 유임하라고 지시했지만 남편이 '진급 대상자인데 너무하지 않느냐'는 의사를 내비쳐 해양과학수사센터장으로 옮기게 됐다"고 말했다.
다만 해군은 "군사경찰 병과가 과거 2직군(전투지원병과)이었다가 1직군(전투병과)으로 바뀌었고, 신병교육대대장 보직 또한 함정과 군사경찰 병과 둘 다에서 올 수 있게 개편됐다"고 설명했다. 해군 군사경찰 병과는 기지방어와 수사를 둘 다 하기 때문에 전투병과로 바뀌었으며, 때문에 원칙에 어긋나지는 않았고 어느 연차 장교가 가는 쪽이 적절한지 등을 잘 따져서 인사를 했다는 설명이다.
D씨는 "병과장은 본래 진급심사 때 전문위원으로서 참고할 의견만 제시하는 역할이었지만, 올해 심사부터는 병과 추천제도가 신설돼 병과장이 위원장이 된 병과추천위원회를 열어 그 결과를 심사위원들에게 제공하고, 이 의견이 심사에 결정적 요인이 될 수 있도록 바뀌었다"며 "이는 병과장 권한이 더욱 막강해지는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며, 고인에게는 더욱 심적 압박이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5월 2일은 권총 분실 사건 경과보고를 위해 수사단장이 내려오기로 돼 있었는데, 친한 병과 선·후배들은 고인이 세상을 등지기 1주일 전후로 통화할 당시, 공통적으로 '수사단장이 내려오면 도대체 무엇을 보고해야 하나, 매일 밤 그 고민 때문에 잠을 이루지 못한다'고 심적 스트레스를 호소했다고 말한다"며 "내게(D씨에게)는 '병과장이 나를 죽이려는 것이 너무 (잘) 느껴진다, 심적으로 힘이 들어 불면증 약을 먹고 있다'고 말했었다"고 주장했다.
이어 "수사단장은 올해 임기제 준장으로 진급해 국방부 조사본부장으로 영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으며, 권총 분실 사건이 언론에 나온 사건인 만큼 제대로 해결이 되지 않을 시엔 진급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을 것"이라며 "해당 건을 빨리 해결하라고 강요했을 테고, 고인 또한 '수사단장이 수시로 전화해 4월까지 사건 수사를 끝낼 수 있도록 하라고 했다'고 털어놨다"고 주장했다.
수사단장 C대령은 이같은 의혹 제기에 대해 해군 공보정훈실을 통해 "국방부 조사본부 조사에 성실하게 임하겠다"고만 답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 예방 핫라인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