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정 보이콧하던 安 , 尹과 만찬회동…공동정부 돌파구

인수위사진기자단

내각인선에 불만을 드러내며 '일정 보이콧'에 들어갔던 안철수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 극적으로 손을 잡으며 갈등 봉합 수순에 들어갔다. 브레이크가 걸렸던 국민의힘과 국민의당 간 합당도 곧바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윤 당선인과 안 위원장은 14일 저녁 강남 소재 한 횟집에서 만찬회동을 했다. 자리에는 윤 당선인 측 장제원 비서실장만 배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장 실장은 취재진에게 문자를 보내 "윤석열 정부의 성공을 위해 완전히 하나가 되기로 약속했다"며 "국민들 걱정 없이 공동정부에 한 치의 흔들림 없이 손잡고 가자고 했다"고 말했다. "(만찬자리는) 웃음이 가득했다"며 분위기도 함께 전했다. 두 사람은 또 실무 선에서 사실상 합의가 마무리된 국민의힘과 국민의당 합당 절차도 빠르게 지속하기로 했다. 안 위원장이 다음 날(15일) 직접 안 위원장과의 회동 등에 대해 설명할 예정이라고 한다.
 

앞서 안 위원장은 이날 예정된 일정을 전면 취소하고 인수위 사무실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당초 오전 서울소방본부 현장방문이, 오후에는 본인이 위원장을 맡고 있는 코로나비상대응특별위원회 회의가 예정돼 있었지만 모두 불참했다. 전날 저녁 윤 당선인과 인수위 주요 인사들과의 도시락 만찬에도 안 위원장은 참석하지 않았다. 지난 12일 내각 인사 발표 직후 "인선 과정에서 조언을 해드리고 싶었지만 그런 과정은 없었다"며 노골적으로 불쾌함을 표출한 데 이어, '결근'으로 항의표시를 한 것이다.
 
이런 가운데 윤 당선인은 농림축산식품부 장관과 고용노동부 장관 인선을 발표하며 내각 구성을 마무리 지었다. 이번에도 안철수계 사람들은 없었다. 안 위원장은 지난달 국무총리직을 고사하면서 "공동정부에 대한 대국민 약속을 지킨다는 의미에서 장관 후보를 열심히 추천할 생각"이라고 말했지만, 결론적으로 본인이 추천한 인물들이 국무위원 명단에 포함되지 않으며 체면을 구긴 셈이 됐다.
 
윤 당선인은 장관인선 발표 자리에서 안 위원장 관련 질문이 나오자 "이해가 안 된다. 특정 인사를 배제한 사실이 없다"고 단언하며 두 사람 사이 갈등이 고조되기도 했다. 그는 "안 위원장으로부터도 추천을 받았고, 인선 과정이 어떤 방식으로 이뤄지는지 설명했다"며 "일정이 취소됐다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본인 입장은 무엇인지 전혀 아는 바 없다"고 말했다.
 
윤석열 20대 대통령 당선인과 안철수 대통령직인수위 위원장이 회동을 한 것으로 알려진 지난 14일 밤, 안 위원장의 서울 노원구 자택 앞에서 대기하던 취재진이 장지훈 국민의당 공보팀장의 안내를 듣고 있다. 장 공보팀장은 "안 위원장이 자택으로 귀가하지 않고, 광화문 인근에서 숙박한 뒤 인수위로 출근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마찰이 표면화되자 안 위원장이 인수위원직 사퇴를 포함해 거취를 고심하고 있다는 관측도 나왔다. 대선 과정에서 약속한 공동정부 구성이 최대 위기를 맞은 것이다. 두 사람의 단일화 선언문에는 '함께 정부를 인수하고 함께 정부를 구성한다'는 내용이 담겼지만, 실상 내각 구성에 안 위원장의 지분이 하나도 없어 공허한 목소리가 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파국 직전 두 사람이 손을 잡으며 당장 위기는 벗어났다. 윤 당선인 입장에서는 지방선거를 앞두고 마찰음을 내는 것이 선거에 도움이 안 된다는 판단이, 안 위원장 입장에서는 인수위원장 직을 사퇴할 경우 또다시 '철수정치'라는 정치적 타격을 입는 상황에서 마땅한 대안이 없다는 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윤석열 정부의 초대 내각 구성이 이날 모두 마무리된 상태에서 향후 공동정부 구성을 어떻게 합의해 나갈지가 남은 문제다. 윤 당선인 측 핵심 관계자는 "안 위원장과의 관계 때문에 '안철수 추천'이라는 이유만으로 안 위원장 추천 인사가 인선에 반영할 가능성은 없다"며 "안 위원장의 추천을 포함한 인재풀에서 검증과 당선인의 국정철학을 종합해 인사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양 측은 안 위원장이 전문성을 가졌다고 평가 받는 과학기술 분야 등에서 의견을 적극 반영한다는 데 공감대를 이뤘다고 한다. 하지만 목표를 구체화하기 어려운 내용인 만큼 추후 갈등이 다시 분출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