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디지털 성범죄 '남성 피해자' 지원 2배 증가

여가부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센터' 운영 실적 발표
피해자 6천여 명 중 남성 26.5%…전년보다 2배 증가
몸캠 피싱 등 신고 급증이 원인…촬영물 삭제 등 지원


#남성 피해자 A씨는 채팅 앱을 통해 20대 여성을 사칭한 B씨와 대화를 나눴다. B씨는 대화 중 A씨에게 자신의 성적 사진을 보여주겠다며 파일을 보냈고, 이때 악성코드 프로그램이 A씨의 휴대전화에 설치돼 연락처가 유출됐다. 이후 A씨는 요청에 따라 옷을 벗은 채 영상 통화를 했고, 이를 녹화한 B씨는 A씨 지인들에게 사진을 유포하겠다고 협박하며 금전을 요구했다. 수차례 송금으로 피해가 컸던 A씨는 여성가족부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센터에 도움을 요청했다. 센터는 A씨에게 B씨와의 연락을 중단하고 송금내역 등 증거자료를 준비해 관할 경찰서에 신고할 수 있도록 했다. 또 피해 촬영물을 접수해 유포 여부를 파악했다.

지난해 여가부가 지원한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중에 남성의 수가 1년 새 2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불법 촬영 협박(몸캠 피싱) 피해 신고 건수가 급증한 영향이다.

4일 여가부와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은 이 같은 내용의 '2021년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센터' 운영 실적을 발표했다. 센터는 지난해 피해자 6952명을 지원했는데, 이들 가운데 여성은 5109명(73.5%), 남성은 1843명(26.5%)으로 나타났다. 전체 피해자는 지난 2020년보다 39.8% 늘었으며, 남성 피해자는 926명으로 2배 증가했다.

피해자 연령대는 10대(21.3%)와 20대(21.0%)가 전체의 42.3%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디지털 성범죄 피해가 상대적으로 디지털 기기나 온라인 환경에 익숙한 저연령층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가해자와의 관계는 친밀하기보다 '잘 모르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가해자가 누구인지 전혀 모르거나, 가해자와 일시적 관계를 맺은 경우가 각각 51.7%, 28.2%로 높게 나타났다. 디지털 성범죄가 주로 가해자와 피해자의 물리적 접촉 없이 온라인을 통해 피해 촬영물을 제작·획득·유포하는 방식으로 이뤄지기 때문이다.


피해 유형별로는 유포 불안(25.7%)이 가장 많았고, 불법 촬영(21.5%), 유포(20.3%)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유포와 유포 협박, 유포 불안 피해를 합하면 전체 피해 유형의 64.7%를 차지했다. 이는 2020년 51.5%보다 늘어난 수치다.

촬영물 유포 피해가 심각해 센터는 피해 촬영물 '선제 삭제 지원' 서비스에 집중하고 있다. 지난해 6월 성폭력방지법이 개정되며 아동·청소년 성착취물은 피해자의 요청 없이도 사전 모니터링을 통해 선제적으로 삭제 지원할 수 있게 됐다. 센터가 지난해 상담, 피해 촬영물 삭제 지원, 수사‧법률‧의료 지원 연계 등 지원한 서비스는 전년보다 10.2% 증가한 18만8천여 건이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