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점 구간 더 길 수도"…신속검사 확진 인정·스텔스 오미크론 영향
이상원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장은 17일 정례브리핑에서 "신규 확진자 수가 오늘 60만 명이 넘게 보고됐다"며 "현재 정점에 접근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확진세가 예상보다 높아 정점 구간이 다소 길게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이날 0시 기준 집계된 신규 확진자는 62만 1328명이고 사망자는 429명으로 역대 최다다. 이중 7만명은 전날 시스템 오류로 집계에서 누락된 확진자로 실제로는 약 55만명 정도로 추산된다.
사망자도 3일 이내 사망자가 206명 그 이전 사망자가 223명으로 429명이 하루 만에 발생한 사망자는 아니다. 방대본은 "사망자가 늘며 의료기관의 사망 신고도 지연되고 있다"며 "전일 사망자에 더해 신고가 누락된 사망자도 집계됐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른바 '스텔스 오미크론'으로 불리는 오미크론 BA.2의 국내 점유 비중이 커진 것도 예상보다 유행이 더 커진 원인 중 하나로 보고 있다. 오미크론 BA.2는 기존 오미크론(BA.1)과 중증도는 비슷하지만 전파력은 30% 정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단장은 "유럽의 경우에는 유행 정점 후에 감소하였다가 최근 다시 증가하는 상황이 있는데 '스텔스형 오미크론'이라고 불리는 BA.2형의 증가가 관련이 있다는 의견이 있다"며 "우리나라도 BA.2의 (점유율이) 2월에는 17% 수준이었다가 최근 26.3%까지 증가했다"고 말했다.
빗나간 예측 속 방역완화 유행 키웠나…당국 "정교화 노력 계속"
실제로 오미크론 유행이 지난 1월 본격화된 후 정부의 유행 규모와 정점 예측은 번번이 빗나갔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확진자가 8천명대를 기록했던 1월 25일 "10~20만명은 아주 비관적인 사람들이 보는 것"이라며 "정부와 같이 일하는 분들은 3만명 정도로 정점을 칠 것이라 말한다"고 언급했지만 3주 만인 2월 18일 10만명을 넘어섰다.
질병관리청도 국내외 연구진 수행 결과를 바탕으로 지난달 21일 유행의 정점은 2월 말~3월 중순, 확진자 규모는 14~17만명을 예상했다가 일주일 뒤 유행 규모를 18~35만명으로 수정했다. 하지만 이 또한 실제 수치와는 크게 달랐다. 대선날인 9일 확진자도 23만명 정도로 내다봤지만 막상 당일 확진자는 10만여명 높은 34만 2446명이었다.
이달 4일 유행 폭증세 속 영업제한 시간을 기존 밤 10시에서 11시로 조기 완화했을 때 분석도 결과적으로 엇나갔다. 당시 질병청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의 공동 분석을 토대로 1시간 완화 시 유행 규모는 밤 10시 제한보다 10% 내외로 늘어 3월 중순 무렵 30만명 안팎의 확진자를 예상했지만 실제로는 40만~50만대를 기록했다.
유행의 규모를 과소평가한 데다 중요한 구간마다 방역정책을 유지하기는커녕 오히려 거리두기를 차츰 완화하고 방역패스를 중단하는 등 완화 정책을 고수한 것이 유행을 더 키웠다는 지적이 나오는 까닭이다.
이에 이 반장은 "기존의 모델링의 프레임 자체는 유지하지만 방역정책의 변경 등을 구체적으로 반영하지 못한 면이 있다"며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환자의 구체적인 숫자, 이런 내용들은 예측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것은 좀 더 정교하게 하기 위한 노력들을 계속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