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와 러시아-우크라이나 간 전쟁 여파가 양대 변동 축이다.
연준은 오는 15~16일(현지시간) FOMC 회의를 열어 금리 인상을 예정대로 단행할 예정이다. 결과는 우리 시간으로 17일 새벽 발표된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최근 여러 차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미국의 물가 상승률이 40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는 등 조기 인플레이션 우려에 대한 경고등이 켜지면서 연준이 코로나19 이후에 줄곧 유지해온 '제로 금리' 시대를 마감하고, 약 3년 만에 금리 인상에 나설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실제로 지난달 미 소비자물가지수(CPI)는 1년 전보다 7.9% 급등했다.
인상 폭에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우크라이나 사태 여파로 경기 둔화 우려가 부각된 만큼, 빅스텝(0.5%p) 인상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파월 의장도 지난 2월 하원 금융위원회 청문회에서 "(3월 FOMC에서) 0.25%p 금리 인상을 지지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한화투자증권 김성수 연구원은 "이번에 기준금리는 0.25%p 인상되겠지만, 0.5%p 인상 가능성은 앞으로도 열어둘 것"이라고 전망했다.
금리 인상은 통상 국채 등 안전자산 선호현상으로 이어지면서 증시에는 악재일 수밖에 없지만, 이미 금융시장에 관련 리스크가 선(先) 반영된 만큼 그 효과는 제한적이라는 관측도 적지 않다.
연준 금리인상과 맞물려 글로벌 자금의 연쇄 이동을 촉발해 국내 증시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는 외부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국제결제은행(BIS) 등에 따르면, 서방 국가들이 러시아로부터 받아야 할 돈은 1210억 달러다. 유럽 은행이 840억 달러를 빌려줬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길어지면 서방 국가들의 제재 수위는 더욱 높아질 수밖에 없고 금융시장 불안은 더욱 가속화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시장에선 러시아 리스크가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을 넘어 '위기'로까지 이어질 가능성을 높지 않게 보면서도, 단기 충격은 불가피하다는 분석을 내놓는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러시아 디폴트 가능성을 우려하면서도 금융위기 촉발 가능성에 대해선 "현재로서는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정용택 IBK투자증권 수석연구위원은 러시아가 오는 16일 달러화 표시 국채에 대해 이자 지급을 하지 않는 경우 "러시아에 돈을 빌려준 금융기관이나 기업들의 리스크가 부각되겠지만, 금융 시스템을 흔들만한 위기로 번질지는 물음표"라고 밝혔다. 정 연구위원은 그러면서 "국내 증시는 1차적으로 충격을 받고 하락하겠지만, 시스템 리스크로 연결되지 않을 경우 일정부분 반등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