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관계장관회의가 열리기는 현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기 전인 2017년 1월 이후 5년 2개월 만이다.
그간 정부 물가 대응은 기재부 1차관이 주재하는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중심으로 이뤄졌는데 대응 체계를 급기야 장관급으로 격상한 것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무력 침공으로 인플레이션 압박이 크게 가중되는 등 물가 상황이 악화 일로로 치닫고 있기 때문이다.
홍남기 부총리는 지난 3일 '비상경제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대내외 인플레이션 압력이 시급한 당면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사태는 국제 에너지와 원자재 가격 오름세를 부채질하며 물가 상승 압력을 한껏 증폭시키고 있다.
특히,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세를 주도하는 석유류 가격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국제유가는 배럴당 110달러를 넘기는 등 폭등세를 지속 중이다.
문제는 현재의 국제유가 폭등세 등을 고려하면 앞으로도 상당 기간 물가 상승세가 꺾이기는커녕 오히려 가속될 것이라는 우려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발표한 경제정책방향에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지난해 2.5%보다 낮은 2.2%로 전망했다.
그러나 한국은행은 지난달 24일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3.1%로 대폭 상향했다.
홍남기 부총리는 "물가관계장관회의에서 생활물가 안정을 위한 가능한 모든 대응책을 집중 강구해 시행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외식 품목 가격 공개 등 업계에 대한 압박 외에 물가 안정을 위한 '뾰족수'를 내놓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