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2014년에서 2019년 사이 기업활동조사자료를 토대로 50인 이상 기업의 고용과 성장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다.
그런데 이 기간 사이를 좀 나눠보면 얘기는 또 달라진다.
2014년에서 2016년 사이의 고용증가율이 0.31%p 상승이었다면 2017년에서 2019년 사이에는 0.27%p 증가로 증가폭이 줄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이런 결과는 매출증가의 고용창출력 약화도 반영하지만 매출감소에 따른 고용둔화의 감소 가능성도 함께 내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매출이 늘어도 전처럼 사람을 더 뽑지 않고 대신 매출이 감소해도 사람을 전처럼 줄이지는 않는다는 뜻이 된다.
한국은행은 이와같은 매출증감에 따른 고용민감도 하락은 매출이 증가한 300인 이상 제조업과 300인 미만 서비스업의 고용창출력이 큰 폭으로 하락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한은 관계자는 "특히 서비스업 300인 미만 기업은 매출증가에 따른 고용민감도가 0.28%에서 0.13%p로 절반 수준으로 하락했는데 이는 경쟁심화에 따른 가격결정력 약화에 상당부분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특히 매출이 대폭 증가한 300인 미만 서비스업의 고용 민감도는 더 큰 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한국은행 분석 결과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서비스업의 고용 창출은 주로 신생기업에 의해 주도 되는데 2014년 업력 10년 미만 기업 비중이 12.3% 였지만 2019년에는 6.9%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신생 서비스업 비중이 낮아졌기 때문에 그만큼 고용창출이 덜 일어났다는 뜻이다.
한국은행은 이런 서비스업의 고용창출력 저하를 방지하려면 기업들이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R&D 활성화를 유도해야 한다며 전체 R&D 중 서비스업의 지출 비중이 미국은 2018년 34.1%인 반면 우리나라는 9.1%에 불과했다고 설명했다.
여기다 혁신과 고용안정성을 동시에 달성한 기업에게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생산성 제고를 위한 기업의 혁신활동이 고용친화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한은은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