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서울 강남구 신사동 케이옥션 본사에서 열린 경매에 국보 '금동삼존불감'(제73호)과 '계미명금동삼존불입상'(제72호)이 출품됐다. 각각 28억원과 32억원으로 시작했지만 응찰자가 없었다.
국보가 미술품 경매에 나온 건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두 국보는 간송 전형필(1906~1962)이 일제 강점기에 사재를 털어 수집한 문화재라서 더욱 관심이 집중됐지만 새 주인을 찾지 못했다.
간송 후손이 국가지정문화재인 국보와 보물을 경매에 내놓은 것은 두 번째다. 앞서 2020년 5월 케이옥션에 보물 '금동여래입상'(제284호)과 '금동보살입상'(제285호) 2점을 출품했지만 유찰됐고, 같은 해 8월 국립중앙박물관이 22억원에 매입해 두 불상은 국유문화재가 됐다.
이번 소장품 매각이 "구조조정을 마무리하기 위한 결정"이라는 설명이지만 간송 후손에 대한 미술계의 시선이 곱지만은 않다.
두 국보는 재단이 아닌 전인건(간송 손자) 간송미술관장 개인 소장이기 때문에 경매 수익이 미술관에 돌아가지 않는다. 게다가 국가지정문화재는 상속세를 지불하지 않아도 된다. 또 미술관 측이 입장문에서 언급한 다목적 신축수장고(서울 성북동)와 대구간송미술관은 국비와 시비 등 세금으로 건설될 예정이다. 두 국보가 경매에 나온 데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는 이유도 여기서 찾을 수 있다.
유찰된 두 국보의 향방에도 관심이 쏠린다. 이날 경매에 입찰하지 않았지만 국보를 매입할 가장 유력한 후보는 국립중앙박물관이다. 지난해 유찰됐던 간송 보물 불상을 매입한 전력이 있기 때문이다. 다만 국립중앙박물관의 연간 유물구입 예산(39억원)으로는 두 국보를 모두 매입하기는 어렵다.
케이옥션 관계자는 CBS노컷뉴스에 "유찰된 경매품은 일단 위탁자인 간송미술관에 돌아간다. 재출품 여부는 위탁자의 의사에 따라 결정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