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쓰나미 '초읽기'…위중증 환자에 달렸다

18일 오후 9시 기준 신규확진자 4천명…19일 0시 5천명 중반 예상
확진자 수 급증 예상 속 '위중증 환자' 관리가 관건
전문가 "재택치료 인프라 취약…환자 급증 대응 체계 갖춰야"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에서 해외 입국자들이 입국 절차를 밟고 있다. 박종민 기자
미국, 영국 등 지구촌을 강타한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쓰나미가 곧 우리나라에도 들이닥칠 전망이다. 해외 사례를 보면 지금은 '폭풍 전야'라 할 수 있다.

미국은 오미크론이 확산한 지 한 달 만에 신규 확진자가 7배 증가한 80만명대를 유지하고 있다. 일본은 18일 3만명을 넘어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2만명대에서 뛰는 데 걸린 기간은 단 나흘이다. 영국은 이달 초 역대 최대치인 21만8천명을 찍은 후에야 감소세로 돌아섰다.

시차를 두고 한국도 오미크론 유행이 시작된 가운데 확진자가 얼마나 불어날지 예상하기 어렵다. 당국과 전문가들은 위험 정도의 중요 지표인 위중증 확진자수의 관리가 오미크론 대응의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고 진단한다.

코로나19 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줄 서 있다. 이한형 기자

18일 하루 5천명 넘을 듯…조만간 오미크론 비상 단계


18일 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코로나19 신규확진자는 모두 4846명으로 집계됐다. 전날 같은 시간 집계치 3334명보다 1512명 많은 수치다.

집계를 마감하는 자정까지 시간이 남은 점을 고려하면 19일 발표될 신규 확진자 수는 이보다 더 늘어 5000명대 중반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신규확진자 5000명대는 지난달 30일 5037명을 기록한 지 20일 만이다.

지난달 15일 역대 최대인 7850명까지 기록했던 확진자 수는 강화된 거리두기와 부스터샷 접종 증가로 3천명대까지 줄어들었다가 오미크론의 확산과 맞물려 다시 증가하는 모양새다.

확진자가 5000명을 넘으면 정부는 방역체계를 '오미크론 대비 단계로 전환하도록 준비하게 된다. 대비 단계는 이후 7000명이 넘길 때 시행되는 '대응' 단계의 준비 단계다. 대응 단계에서는 크게 병원·의원이 코로나19 확진자 진료에 참여하고 확진자 격리기간은 기존 10일에서 7일로 단축된다.

미국·유럽, 오미크론 환진자 폭증에 의료체계 과부하 

지금의 추세대로면 이번 주 안에 오미크론이 델타 변이를 제치고 우세종이 될 것으로 방역당국은 예측한다.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되면 해외 사례처럼 우리나라도 델타 때와 비할 수 없는 속도로 확진자 수가 늘어날 전망이다.

당장 오미크론 유행을 먼저 경험한 나라들은 전례 없는 코로나 확진으로 의료체계가 마비되는 상황이 벌어졌다.

수일 째 평균 신규확진자가 80만명을 기록하고 있는 미국은 오미크론으로 힘겹게 버티고 있다.

연합뉴스
특히 뉴욕시의 경우 의료진 부족으로 군 의무팀까지 공공병원 지원에 나섰고, 캘리포이나주는 검사소에 주방위군을 투입했다.

프랑스에서는 코로나19에 감염됐으나 무증상이거나 증상이 약한 의료진은 병원 근무를 계속하고 있다.  

영국은 지난 4일 역대 최대치인 21만8000명을 찍고 감소세에 돌아섰지만 누적 사망자 15만명을 세계에서 7번째로 넘었다.

오피크론 약해도 확진자 폭발땐 위중증 환자도 급증 

확진자 수 만큼이나 위중증 환자수가 얼마나 늘어날 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중증화율이 비교적 낮은 오미크론 특성 상 유행 초기에는 델타 유행에 대비해 위중증 환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지 않거나 줄 수도 있다는 게 방역당국과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예상이다.

그러다 오미크론의 확산 규모가 델타 대비 몇 배로 늘어난다면 위중증 환자는 오히려 기록적 수준으로 오를 수도 있다.

미국이 대표적인 예다. 미국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14일 기준 코로나19 입원 환자는 15만7272명으로 코로나 팬데믹 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오미크론이 중증을 덜 유발한다 해도 확진자가 폭증하면 위중증환자도 치솟을 수 있다는 것이다.

국내 위중증 환자는 최근 감소세를 보여왔다. 하지만 위중증 환자수치는 2~3주 전 일일 확진자가 감소한 후 시차를 두고 나타나는 '후행지표'인 만큼 한숨을 돌리기는 이르다는 분석이다.

방역당국 관계자는 "외국의 사례에서도 먼저 확진 규모가 증가하면서 위중증 환자와 입원 환자가 후행적으로 증가하는 양상들이 나타나고 있어서 외국의 사례들에 대해서도 계속 면밀하게 지켜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한형 기자

전문가들 "경증 확진자·치료제 배달체계 개선" 목소리

미국, 유럽 같은 해외 같은 피해를 보지 않기 위해선 위중증 환자 관리가 최우선 과제로 뽑힌다.

확진자가 급격히 늘어나 적절한 시기에 대응하지 못할 경우 늘어난 경증 환자가 위중증으로 악화될 위험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치료제 전달과 병원 이송 체계에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엄중식 가천대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현재 재택치료 인프라가 아직 취약한 만큼 하루 확진자가 2만명 정도 나온다고 하면 치료제를 전달하는 배송 등에서 어려움이 예상된다"며 "치료가 지연될 수록 경증 확진자도 상태가 나빠질 수 있는 만큼 치료제 배송 시스템 등에서 신속한 대응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 내과 교수도 "먹는 약을 빠르게 공급하고 아울러 주사를 통한 렘데시비르 투약을 늘리기 위해 외래진료센터와 생활치료센터에 주사 놓는 시설을 설치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약을 수령하는 방법도 배송을 기다리다가는 5일을 초과할 가능성이 있어 보호자를 통하는 방법 등으로 빠르게 수령하는 시스템을 갖출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