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A씨는 2019년 경기도 안양의 한 아파트를 분양받아 중도금과 잔금을 치르는 과정에서 주택담보대출로 총 6억 원을 받았다. 일정 기간 후 금리가 갱신되는 변동형 대출로, 당시 금리는 2% 후반대였다. 금리고정형 대출보다 조건이 유리하다는 판단 하에 A씨는 가능 한도를 꽉 채워 대출을 받았지만, 최근 계속되는 금리 인상 소식에 속앓이를 하고 있다.
A씨는 "지금도 한 달 이자가 200만 원이 넘는데, 맞벌이여도 부담스러운 게 사실"이라며 "생각보다 금리 인상이 빨리 이뤄져서 어떻게 될지 불안하다. 원금을 계획보다 빨리 갚아서 이자 부담을 낮춰야 하는 것 아닌가 고민하고 있다. 금리인상의 필요성은 이해하지만, 미국에 비해 너무 빨리 올리는 것 같다"고 말했다.
한국은행이 14일 현재 연 1.00%인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또 인상하면서 A씨 같은 '영끌족'들의 불안감은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5개월 사이 이뤄진 세 번째 인상으로, 기준금리는 22개월 만에 코로나19 직전 수준에 다다랐다. 이런 기조와 맞물려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금리 모두 줄줄이 오름세다.
주요 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단은 고정형과 변동형 모두 연 5%대까지 올랐으며, 6%대 진입을 앞두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신용대출 금리 상단이 5%를 넘어서는 날도 머지않았다.
특히 변동금리형 대출을 택한 이들은 인상폭에 더욱 민감할 수밖에 없다. 이날 한은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은행·비은행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1744조 7천억 원으로, 이 가운데 73.6%가 변동금리형 대출로 조사됐다. 이 대출 금리가 기준금리 인상분과 마찬가지인 0.25% 포인트 올랐다고 가정했을 때 연간 이자부담은 3조 2천억 원이 불어난다고 한은은 계산했다.
전체 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만 떼 놓고 봤을 때 변동금리형은 50%대 수준으로 파악된다.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의 기준 가운데 하나인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는 지난달 사상 최대치인 연 1.55%로 나타났다.
은행권 관계자는 "통상 기준금리가 올라가면 코픽스 금리는 오른다"며 "코픽스 종류 가운데 '신규취급액 코픽스'는 기준금리에 대한 민감도가 가장 높다"고 설명했다.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때 기준금리를 '신규취급액 코픽스'로 고른 이들은 부담이 더욱 가파르게 증가할 수 있다는 취지다.
아울러 "과도한 레버리지를 일으켜 고평가된 자산에 투자하는 위험 추구 행위는 자제해야 한다"며 이른바 '빚투' 행태에 대한 제동 메시지도 내놨다.
그럼에도 영끌족 뿐 아니라 신규 대출 희망자들 사이에서도 금리 인상과 대출 규제 여파로 답답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인터넷 부동산 카페에는 "대출 금리가 하루가 다르게 오른다"며 '내 집 마련'이 더 어려워 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담긴 글도 적지 않게 올라오고 있다.
이런 기류와 맞물려 연초 주요 은행 고정 금리 대출 상품인 '적격대출'이 조기에 소진되는 상황도 벌어졌다. 이달부터는 주택담보대출 등 총 대출액이 2억원을 초과할 경우 연간 원리금 상환액은 연 소득의 40%를 넘을 수 없는 DSR 규제도 적용된다. 오는 7월부터는 총 대출액이 1억원을 넘길 경우에도 이 규제 대상에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