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에게 특히 필요한 중증도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전망이다.
12일 기초과학연구원(IBS)에 따르면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신변종바이러스연구센터 최영기 센터장(충북대 의과대학 교수) 연구진이 고연령 코로나19 감염자의 중증도와 전파율이 저연령 감염자보다 높다는 사실을 동물실험으로 입증했다.
연구진은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시킨 동물모델 페렛(식육목 족제비과 포유류)을 3개 연령 그룹(6개월 이하·1년 이상 2년 이하·3년 이상)으로 나눠 병원성을 비교했다. 페렛은 사람과 호흡기 구조가 유사해 인체에서 나타나는 임상 증상(발열·재채기·콧물·활동성 저하 등) 관찰에 유용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호흡기 바이러스에 자연 감염되며 인체감염 동물모델로 널리 사용된다.
분석 결과 저연령 페렛은 병원성과 증식성이 낮아 밀접 접촉한 다른 동물로의 전파원이 되지 못했지만, 고연령 페렛은 증식성이 높아 다른 동물로의 전파율이 매우 높음을 확인했다. 폐에서 바이러스 RNA 양성 세포가 다수 검출되고 중증 폐병변이 나타나는 등 중증도 또한 높았다.
정확한 원인 파악을 위해 RNA 염기서열분석 기법으로 감염된 폐 조직의 유전자 발현 양상을 분석하자 저연령 페렛에서는 빠른 면역 반응 후 조직재생을 위한 다양한 유전자 발현이 증가했다.
하지만 고연령 페렛에서는 감염 초기부터 염증성 사이토카인(케모카인·제 I형 인터페론 등) 발현이 현저히 증가하고 면역세포(대식세포·자연살해세포 등)가 과활성되면서 심각한 염증을 유도했다. 사이토카인은 신체 방어체계를 제어하고 자극하는 신호물질로 사용되는 당단백질을 뜻한다. 과도하게 발현하면 바이러스뿐 아니라 정상 세포까지 공격하는 '사이토카인 폭풍'이 발생한다.
또한 고령층은 어린이와 청소년과 비교해 바이러스 전파율과 병원성이 모두 높게 나타난다는 사실도 입증했다.
최영기 센터장은 "숙주 연령에 따라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병원성과 전파율이 큰 차이가 있음을 실험을 통해 최초로 증명했다"며 "중증 및 고령 환자에게 맞는 맞춤형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을 앞당길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