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2020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2019년 8월과 2020년 2월에 전국 대학과 일반대학원을 졸업한 55만 3521명을 대상으로 취업현황을 2020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조사했다.
조사대상 중 취업자는 31만 2430명으로 취업 대상자 48만 149명의 65.1%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의 67.1%보다 2.0%p 감소한 것으로 2011년 조사 시작 이후 취업률이 65%대로 떨어진 건 처음으로 역대 최저치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번 통계조사는 코로나19가 발생한 이후 사회생활을 하는 학생들의 첫 취업률"이라며 "코로나19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분야별로는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와 프리랜서 비율이 전년보다 각각 0.6%p, 0.1%p 상승한 반면 해외취업자와 1인 창업자는 각각 0.5%p, 0.2%p 하락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지난해 해외 취업이 쉽지 않았고, 1인 창업도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계열별로는 공학계열(67.7%)과 의약계열(82.1%)이 전체 취업률보다 높았지만 인문계열(53.5%) 사회계열(60.9%) 교육계열(62.1%) 자연계열(62.3%) 예체능계열(62.2%)은 평균보다 낮았다.
모든 계열의 취업률이 감소했지만 특히 인문계열(-2.7%p) 사회계열(-2.5%p) 예체능계열(-2.3%p) 공학계열(-2.2%p)의 감소폭이 컸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취업률 차이도 벌어져, 수도권의 취업률은 66.8%로 비수도권 취업률(63.9%)보다 2.9%p 높았다.
시·도별로는 서울(67.3%) 인천(67.3%) 대전(67.3%) 울산(66.8%) 경기(66.0%) 충남(65.7%) 전남(67.4%)의 취업률이 전체 평균보다 높았다.
성별 취업률 차이도 더 벌어졌다. 지난해 남성 졸업자의 취업률은 67.1%, 여성 졸업자는 63.1%로 4.0%포인트 차이가 났다.
남녀 취업률의 차이는 2017년 3.0%포인트, 2018년 3.6%포인트, 2019년 3.8%포인트로 매년 커지고 있다.
취업하고 약 1년 뒤에도 직장에 계속 다니는 비율인 '유지취업률'도 80.0%로 전년보다 0.2%p 줄었다.
학부 졸업생의 월평균 소득은 244만 1천 원으로 전년(241만 6천 원)보다 2만 5천 원, 일반대학원의 월평균 소득은 449만 3천 원으로 전년(446만 2천 원)보다 3만1천 원 상승했다.
취업 기업 유형별로 보면 중소기업이 48.3%로 가장 많았고 비영리법인(17.4%), 국가 및 지방자치 단체(10.1%), 대기업(8.5%), 중견기업(7.4%), 공공기관 및 공기업(4.9%) 등이 그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