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예고했던 대로 내년 2월 열리는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선수단만 파견하고 정부대표단은 보내지 않는 외교적 보이콧 카드를 꺼내들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6일(현지시간) 언론 브리핑에서 베이징 올림픽에 선수단을 파견하되, 개·폐회식 등 행사에 미 행정부 인사들은 보내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외교적 보이콧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화상으로 열린 미중 정상회담이 끝난 뒤 사흘 만에 검토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사실상 기정사실화된 문제였다.
백악관은 외교적 보이콧 이유로 신장에서 중국의 인권탄압 등을 들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신장지구에서 진행중인 중국 공산당의 집단 학살과 반인륜 범죄와 다른 인권 유린들을 고려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은 한발 더 나아갔다. "오늘 우리가 알기로는 동맹국을 포함해 세게 여러 나라들도 비슷한 걱정을 공유하고 있다"며 "각자의 결정을 수 일 또는 수 주 내에 발표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동참을 촉구했다.
자오리젠 외교부 대변인은 7일 오후 정례 브리핑에서 미국에 엄정하게 항의한다며 앞으로 결연한 반격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국 간 일련의 중요한 분야와 국제·지역 문제에 대한 대화와 협력에 해를 끼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시 주석에게 직접 제안한 비축유 방출, 이란 핵 문제 등 당면 현안에서 중국이 미국에 사사건건 '어깃장'을 놓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한미 간에 문구 조율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종전선언도 영향권 안에 들 수 있다. 미중 관계가 계속 악화될 경우 북한 핵문제 해결이나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불러내는 과정에서 중국의 역할도 제한될 수 있다.
하지만 중국 측의 이런 경고에도 불구하고 중국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해 오던 뉴질랜드도 정부 대표단을 보내지 않기로 하고 이를 이미 중국에 통보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랜트 로버트슨 부총리 겸 체육부 장관은 뉴질랜드도 외교적 수준에서는 올림픽에 불참할 것이라며 중국의 인권 탄압이 아닌 코로나19 등 안전 문제 등을 이유로 들었다.
영국 호주 등 일부 서방국가는 물론 일본도 미국에 힘을 실어줄지 여부를 놓고 고심하는 등 외교적 보이콧 움직임은 당분간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