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명 사망' 파주 LGD 화학물질 누출사고 11명 검찰 송치

파주 LGD서 유해 화학물질 누출 사고가 발생한 지난 1월 경기 파주시 LGD 공장 내 차량이 분주하게 현장을 오가는 모습.  연합뉴스파주 LGD서 유해 화학물질 누출 사고가 발생한 지난 1월 경기 파주시 LGD 공장 내 차량이 분주하게 현장을 오가는 모습. 연합뉴스
지난 1월 사상자 5명을 낸 경기 파주 LG디스플레이 화학물질 누출사고와 관련해 11명이 경찰에 입건돼 검찰에 넘겨졌다.

파주경찰서는 업무상 과실치사상 혐의로 LG디스플레이의 작업 주관부서 관계자 등 8명과 협력사 소속 현장 책임자 등 3명을 불구속 입건해 검찰에 송치했다고 24일 밝혔다.

지난 1월 13일 오후 2시 20분쯤 LG디스플레이 P8 공장 5층에서 TMAH가 누출됐다. 이 사고로 최모(40)씨와 이모(40)씨 등 협력업체 직원 2명이 숨지고, 3명이 다쳤다.

누출된 물질은 일반적으로 반도체 가공 공정에서 세척제 등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진 수산화테트라 메틸암모늄(Tetra Methyl Ammonium Hydrooxide·TMAH)이다. 암모니아 냄새가 나는 무색의 액체인 TMAH는 독성이 치명적인 물질이다.

당시 사고는 탱크 및 배관 교체 작업 중 밸브 1개를 제대로 잠그지 않은 상태로 배관 연결 작업을 하다가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lg디스플레이 제공lg디스플레이 제공
경찰은 TMAH 누출 직후 위험성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병원 이송 등 초동 조치가 미흡해 근로자 2명이 사망하는 등 피해가 커진 것으로 판단했다.

고용노동부 고양노동지청과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합동 조사해 작성한 재해조사 의견서에 따르면 LG디스플레이는 TMAH의 배관 수정작업을 담당인 A사가 바로 공사하기 어렵다고 하자 관련 경험이 없는 B사에 맡겼으며, 작업 기간도 2개월에서 45일로 단축해달라고 요청했다.

재해조사 의견서에는 누출사고 이후 현장에 있던 LG디스플레이 직원들이 TMAH에 접촉된 작업자들을 즉시 대피를 시키기보다는 밸브 차단을 우선한 것으로 판단됐다.
 
최씨 등 2명은 현장에서 의식을 잃고 쓰러진 뒤 병원으로 옮겨졌다 이씨는 지난 3월, 최씨는 지난 10월 각각 숨졌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