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탈과 분노의 광주 "죽어도 진실 규명할 것"(종합)

5·18 기념재단과 5·18 3 단체 5·18기념재단서 기자회견 개최
광주 시민단체, 갑작스런 전두환씨 죽음에 분노 감추지 못해
광주시와 전라남도 지자체장들과 기관장들도 전씨에 대해 비판

전두환씨가 사망한 23일 5·18 기념재단과 5·18 3 단체(유족회·부상자회·구속부상자회)는 23일 오전 5·18 기념재단 기억과 저장소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김한영 기자
전두환 씨가 1980년 광주 학살에 대한 사과나 반성 없이 사망하자 5월 단체와 광주 시민단체 등이 허탈감과 분노를 나타냈다.

5월 단체들은 전두환 씨가 사망하자 5·18기념재단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5·18 기념재단과 5·18 3 단체(유족회·부상자회·구속부상자회)는 23일 오전 5·18 기념재단 기억과 저장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두환이 죽더라도 5·18의 진실은 사라지지 않는다"라고 밝혔다.

5월 단체는 "학살자 전두환은 자신이 5·18과 무관하다며 구차한 변명과 책임회피로 일관해 왔다"며 "그동안의 재판이 대한민국 헌정사를 유린하고 무고한 시민을 학살한 책임자에게 엄중한 법적 책임을 묻는 '역사적 심판'이 되기를 기대해 왔지만, 그의 죽음으로 이마저도 기대할 수 없게 됐다"라고 강조했다.

5월 단체는 "학살자 전두환은 지연된 재판으로 결국 생전에 역사적 심판받지 못하고 죄인으로 죽었다"며 "우리는 오월 학살 주범들에게 반드시 책임을 묻고 만고의 대역죄인 전두환의 범죄행위를 명명백백히 밝혀 역사 정의를 바로 세워나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5월 단체는 전 씨의 국가장에 대해서도 반대하고 나섰다. 5·18 기념재단 조진태 상임이사는 "전 씨의 전두환 국가장은 터무니없고 일고의 가치도 없다"라며 "5·18 학살 최고 책임자로서의 죄는 사라지지 않기 때문에 저지른 죄를 낱낱이 밝혀 역사의 심판대에 세워야 한다"고 밝혔다.

5·18 유족회 김영훈 회장도 "전두환은 죽었지만, 그의 하수인들은 아직 살아있다"며 "발포명령자와 암매장은 끝까지 추적해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 시민단체들도 갑작스러운 전 씨의 죽음에 분노를 감추지 못했다.

광주시민단체협의회 등 20여 개 시민단체들은 성명을 내고 "전두환의 뻔뻔하고도 편안한 죽음에 분노한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불법적인 권력을 통해 자자손손 부와 권력을 대물림하며 떵떵거리게 사는 것을 용인하는 우리 사회의 모습이 수치이고 절망"이라며 "죽는 순간까지 자신의 학살 명령 행위를 부정하고 5·18을 왜곡하고 능멸했다"고 지적했다.

참여자치 21 기우식 사무처장은 "전두환이 죽어야 할 곳은 차가운 감방 안이라고 생각한다"며 "시민들을 학살해 가며 권력을 잡고 시민들을 핍박했던 독재자가 부귀영화를 누리면서 편안하게 잠든 점은 절망스럽다"고 밝혔다.

5월 단체들은 5·18민주화운동과 관련된 신군부 핵심 인물들이 대부분 고령인 점을 고려할 때 하루빨리 조사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광주시와 전라남도 지자체장들과 기관장들도 5‧18의 진실을 밝히지 않고 숨진 전두환 씨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이날 성명서를 내고 "역사의 죄인 전두환에게는 죽음이 면죄부가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도 "전 씨가 자신의 과오를 인정하기는커녕 오히려 5·18의 가치를 폄훼한 만큼 어떤 애도도 적절치 않다"며 "5·18의 아픔과 상처를 온전히 치유하기 위해서는 진실이 반드시 밝혀져야 한다"고 언급했다.

장휘국 광주시 교육감과 장석웅 전라남도 교육감 역시 성명을 내고 "전 씨의 죽음에 대한 어떠한 국가적 예우도 단호히 반대한다"며 "전 씨는 많은 기회가 주어졌지만, 반성도 사과도 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